왜 우리는 기업에 실망하는가/콜린 메이어 지음/이남석 옮김/알에이치코리아/344쪽/1만 6000원
자본주의 사회에서 기업은 가장 뛰어난 조직체라고 할 수 있다. 우선 기업은 우리에게 옷과 음식, 잠자리를 제공하고 일자리를 마련해 준다. 또한 기업은 저축된 돈을 투자하는 주체이면서 경제적 번영과 국가 성장의 원천이기도 하다. 생산의 주체이되 세계의 빈곤과 인류 공생의 열쇠를 쥔 주체라고도 할 수 있다. 경제 발전의 주역이면서 우리의 의식주와 취미 및 여가 생활을 지배하기도 한다. 반면 가난과 불평등, 착취와 환경 파괴의 주범으로 지목되기도 한다. 번영과 풍요로움의 생산자이기도 하지만 이처럼 현대 문명의 온갖 죄악의 원흉으로 지탄받아야 하는 주인공이기도 한 것이다. 국내 사정도 다르지 않다. 회계 부정, 시장 조작과 탈세, 경영진에게 과도하게 쏠린 보상, 인권 남용, 환경 재앙의 중심에 기업이 서 있다. 기업의 좌표는 왜 이래야 하는가. 이익을 추구하면서도 도덕적이고 윤리적일 수는 없는 것일까.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신간 ‘왜 우리는 기업에 실망하는가’는 이러한 문제를 바탕으로 기업의 사적 이익과 지역사회, 고객, 종업원 간 이해관계를 조율하면서 기업의 소유권과 가치관, 지배구조 등에 초점을 맞춘 책이다. 규제와 세제를 활용해 민간과 공공 부문 간 이해관계를 증진하면서 양자 사이의 진정한 협력 관계를 도출할 수 있는 방법도 모색한다. 또한 기업이 인류 역사에 어떻게 공헌했고 어떤 한계점을 갖고 있는지도 알려준다.
기업이 수백년에 걸쳐 진화해 오는 동안 사회질서를 거슬렀던 흔적들을 가감 없이 보여주는 책이기도 하다. 그러나 책은 비판에만 그치지 않는다. 기업이 지녀야 할 책임감의 진정한 의미를 탐색하고 그 책임감을 어떤 방식으로 환기시킬 수 있을지 고민한다.
김문 선임기자 km@seoul.co.kr
2014-07-05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