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 그림을 보면서 받는 인상과 공감은 때로 속 깊은 교훈을 낳는다. 지금 나의 삶과 연결되는 작품 속 메시지의 알아차림과 그를 통한 개선의 동기일 수 있다. ‘옛 그림, 불법에 빠지다’는 그런 측면에서 눈에 띈다. 불화(佛畵)가 아닌 산수화, 인물화, 풍속화, 사군자, 병풍화 등 옛 그림과 저자의 이야기를 곁들여 불교 경전의 의미를 설명하면서 나름의 행복 찾기를 귀띔한다.
이미지 확대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저자는 불문학과 미술사학을 전공했으면서 불교 경전을 탐독해 온 독특한 이력의 글쟁이다. 이번 책은 부처님 생애를 ‘부처 생애의 요약본’이라는 팔상도 형식으로 표현한 전 편과 달리 부처님 가르침이 담긴 경전을 육바라밀에 맞춰 구성했다. 육바라밀이라면 보살이 생사의 고해를 뛰어넘어 열반에 이를 수 있게 하는 여섯 가지 기초적 수행 덕목으로 수행자라면 누구나 지켜야 하는 계율이자 의무다. 책은 이를 통해 행복하게 사는 법을 제시한다.
책의 특징은 불교경전과 옛 그림의 동행에 머물지 않고 저자 자신의 소소한 개인사를 곁들여 어렵지 않은 감상과 교훈으로 연결한다는 점이다. 정선의 ‘사직노송도’를 놓고는 이렇게 풀어 나간다. “사직노송도는 한 뿌리에서 나왔다. 우리 모두는 노송처럼 한 몸으로 연결되어 있다. 아니 연결이 아니라 한 몸이다. 그것이 사직단의 의미가 희석된 시대에 다시 소나무를 심는 행위이고, 다른 사람이 아프니 나도 아프다는 유마거사의 병을 이해하는 것이다.”
저자의 말 그대로 경전 한 구절로 경전 전체를 다 설명할 수는 없다. 바닷물이 짜다는 것을 알기 위해 바닷물 전체를 들이마실 필요는 없을 것이다. 한 스푼의 바닷물을 맛보는 것만으로도 충분하다. 그래서 저자는 이 책을 “한 스푼의 바닷물”로 읽기를 당부한다.
김성호 선임기자 kimus@seoul.co.kr
2015-05-23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