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기가 ‘짐’이었던 미혼모들… 인간의 밑바닥은 어디일까?

아기가 ‘짐’이었던 미혼모들… 인간의 밑바닥은 어디일까?

김기중 기자
김기중 기자
입력 2022-12-22 17:44
수정 2022-12-23 01:0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하리
서경희 지음
문학정원/300쪽/1만 6000원

이미지 확대
열여덟 살에 임신하고 거리를 떠돌던 하리는 불법으로 아이를 입양시켜 주는 대신 숙식을 제공하는 ‘분홍하마의 집’을 찾는다. 쉼터를 운영하는 원장과 대모인 마마는 임산부들을 마치 상품처럼 관리한다. 처음부터 아이를 낳을 생각이 없었던 하리는 불청객처럼 자기 인생을 덮친 이 ‘괴물’을 어떻게 하면 죽여 버릴 수 있을지 고민한다.

미혼모를 주인공으로 내세웠으니 애잔한 사연을 늘어놓을 줄로 생각했다면 오산이다. 소설은 독자의 짐작을 비웃듯 중반부터 이야기를 꼬아 가며 혼란의 구덩이에 몰아넣는다. 하리는 마침내 아이를 유산하는 데 성공하고, 쉼터에서 쫓겨나 또다시 노숙을 하던 중 마마의 제안으로 다시 쉼터로 돌아온다. 안정을 찾은 것도 잠시, 정부 지원금을 받아 그럭저럭 살아가던 하리와 다른 미혼모들의 삶은 원장이 사기를 치고 달아나면서 급격하게 위태로워진다. 소설은 이를 기점으로 폭주 기관차처럼 달려간다. 인간 밑바닥을 보여 주는 사건들이 이어지는 가운데 급기야 폭설이 이들을 싸늘한 쉼터에 가둬 버린다.

장밋빛 개발 전망에 들떴다가 이제는 완전히 버려지다시피 한 북방 지역에 들어선 쉼터에 모인 하리와 초련, 예나, 아이린, 소희. 한때 꿈과 사랑을 좇았다가 가장 낮고 외진 곳까지 밀려난 이들이다. 하루 살기도 버거운 이들에게 아이는 괴물이거나, 돈으로 바꿀 수도 있던 것이며, 잠시 사랑을 느꼈을지라도 생존 앞에선 짐일 뿐이다.

미혼모의 삶을 통해 입양특례법의 맹점, 영유아 유기 사건, 불법 영유아 매매 등을 적절히 엮어 블랙코미디 톤으로 그렸다. 미혼모들이 모인 쉼터라는 공간에서 점점 거칠어지는 이들을 지켜보노라면 ‘이럴 수도 있을까’ 싶다가도 작가의 필력에 ‘그럴 수도 있겠네’ 생각이 들 법하다. 점차 망가지는 이들의 삶은 불편하지만 책을 다 읽은 뒤엔 강한 잔상을 남긴다. 소설보다 때론 현실이 더 잔혹할 수 있겠다는 생각도 뒤따른다.



2022-12-23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