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기독교교회협 김영주 총무
“NCCK답게 사회적 의미에 집중하자는 교단 지도자들의 뜻을 모았습니다. 부활절에 기독교가 가장 보듬고 희망을 줘야 할 분들은 바로 세월호 유족들이 아니겠습니까.”
김영주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총무
이에 따라 올해 개신교 부활절 연합 예배는 연세대 노천극장과 여의도순복음교회, 중앙루터교회 등 세 곳에서 각각 다른 양식으로 치러질 전망이다. “한국 교회가 부활절 연합 예배에서도 갈라진 것처럼 비치지 않기를 바랍니다. 여러 교회가 다양한 입장에서 그리스도의 부활에 동참하는 차원으로 이해했으면 합니다.”
그동안 개신교계에서는 부활절 연합 예배를 계기로 연합과 일치를 할 수 있을지 기대가 컸었다. 이에 대해 김 총무는 “하나 되는 것 못지않게 우리 사회가 부활하고 있는지를 교회가 깊이 고민하고 성찰해야 한다”고 거듭 설명했다. “교회의 연합, 일치가 중요하지만 이웃을 위해 존재한다는 교회가 교회만을 위해 존재할 수는 없는 것입니다.” 개신교 전체 연합 예배가 무산된 데 다소 서운함을 비치면서도 “세 곳에서 열리는 연합 예배에 각각 다른 교단장이며 연합기관 대표가 교차 방문할 수 있게 될 것”이라며 기대의 끈을 놓지 않았다.
“사실 개신교 교회 안에서도 (세월호) 아픔을 이젠 잊자는 쪽과 결코 잊지 말자는 쪽의 의견 차가 없지 않아요. 하나 됨을 위해 그 차이마저도 모두 저버릴 수는 없습니다.” 지난해 세월호 참사 직후 맞은 부활절 연합 예배 때 뼈아픈 교회의 성찰이 없었다는 김 총무는 이제 부활절 연합 예배도 다른 방식으로 바뀔 때가 됐다고 귀띔했다.
“그동안 부활절 연합 예배는 한국 교회의 비뚤어진 모습을 닮아 왔음을 부인하기 어려워요. 물량주의와 개교회 중심으로 치우쳤다고 볼 수 있습니다. 대형 예배에는 대형 공간이 필요하고 그 대형 행사에선 큰 교단·교회의 목소리가 작용할 수밖에 없지요. 설교나 기도문도 영향받는 게 당연하고….”
‘얼마나 많은 신자가 모였는지를 볼 게 아니라 각자 곳곳에서 부활의 의미를 먼저 되새기자’는 김 총무. 그는 “기독교가 희망이 될 수 있는 길은 이제 기독교인 스스로 찾아야 한다”며 “올해는 기억, 고통, 눈물, 아픔을 뛰어넘고 극복하는 희망의 부활절이 되기를 간절히 바란다”고 마지막 인사를 나눴다.
김성호 선임기자 kimus@seoul.co.kr
2015-03-26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