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라이 라마 방한 추진위원장 금강 스님
“2000년 당시와는 상황이 많이 바뀌었습니다. 한·중 관계를 비롯해 국제 정세가 눈에 띄게 달라졌고 달라이 라마의 위상도 이제 티베트 망명정부의 대표보다는 종교적, 영적 지도자로서의 성격이 더 강합니다. 정치, 외교적 갈등 요인과 불협화음을 없앤다면 충분히 방한이 가능할 것입니다.”
금강 스님
달라이 라마 방한 추진위원회장인 금강 스님(49·미황사 주지)은 14일 기자들과 만나 “2017년 4월 방한을 목표로 불교계가 뜻과 힘을 모아 달라이 라마의 방한을 반드시 성사시킬 것”이라고 강조했다.
국내 불교계는 2000년 이후 여러 차례 달라이 라마 방한을 추진했지만 ‘외교적 상황’을 이유로 한국 정부가 불허해 방한이 번번이 불발됐었다. 금강 스님은 “가까운 일본만 하더라도 30여 차례나 방문했다”며 달라이 라마의 방한은 정치, 외교적 상황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고 밝혔다. 금강 스님은 특히 “세계 50여개 나라에서 초청해 가르침을 경청해 온 건 결코 우연이 아니다”라며 “물질만능주의와 무한 경쟁으로 인한 인간 소외와 문화·환경 파괴가 심각한 지금 달라이 라마가 방한한다면 한국 사회에 위안과 힐링의 멘토 역할을 충분히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추진위에 따르면 지난해 7월부터 달라이 라마 방한을 위한 서명운동을 벌여 전국에서 10만여명이 참여했고 연말까지 200만명이 서명할 것으로 전망된다. 추진위에는 현재 출가자와 재가자를 포함, 52명의 위원이 참여하고 있으며 조만간 200명까지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추진위는 내년 3월 중 방한 추진단을 공식 발족해 종교와 정파를 초월한 범국민적 방한운동에 본격적으로 나설 계획이다.
한편 지난 5일부터 인도 다람살라를 방문하고 13일 귀국했다는 금강 스님은 달라이 라마로부터 ‘물러나지 말고 끝까지 추진하라’는 뜻이 담긴 친필 메모를 받았다고 귀띔했다. 금강 스님은 이와 함께 “달라이 라마는 ‘한국 정부가 허락한다면 모든 일에 우선해 한국을 방문, 경남 합천 해인사를 찾아 팔만대장경을 참배하고 세계의 과학자들과 대화도 나누고 싶다’는 뜻을 거듭 밝혔다”고 전했다.
김성호 선임기자 겸 논설위원 kimus@seoul.co.kr
2015-10-15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