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신교인 10명 중 4명 이상 “대선 이후 정부 최우선 과제는 부동산 안정”

개신교인 10명 중 4명 이상 “대선 이후 정부 최우선 과제는 부동산 안정”

허백윤 기자
허백윤 기자
입력 2022-02-15 17:29
수정 2022-02-15 17:2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전국 성인남녀 개신교인 1000명 대상 현안 조사
20·30대 ‘부동산 안정’ 목소리 특히 높아

이미지 확대
제20대 대선의 본격적인 선거운동이 시작된 15일 서울 관악구의 한 거리에 유력대선후보의 플래카드가 붙어 있다. 2022.2.15  박지환 기자
제20대 대선의 본격적인 선거운동이 시작된 15일 서울 관악구의 한 거리에 유력대선후보의 플래카드가 붙어 있다. 2022.2.15
박지환 기자
개신교인들은 대선 이후 새 정부가 해결해야 할 최우선 과제로 부동산 안정 문제를 꼽았다. 이어 경제성장과 일자리 창출, 양극화 해소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뒤를 이었다.

한국기독교사회문제연구원이 여론조사기관 엠브레인퍼블릭과 지난달 19~24일 전국 성인남녀 개신교인 1000명을 대상으로 한 2021 주요 사회 현안에 대한 개신교인 인식조사 연구를 주제로 한 설문조사 결과 대선 이후 정부가 우선적으로 해결해야할 과제로 부동산 안정을 꼽은 답변이 1순위 응답자가 22.6%, 1~3순위 응답자가 49.5%로 가장 많았다.

특히 부동산 문제를 가장 심각하게 생각하는 연령이 20~30대로 20대는 23.7%, 30대 27.5%가 1순위로 부동산 안정이 시급하다고 답했고, 1~3순위 응답자 중에선 30대가 61.8%로 가장 높게 응답했다.

부동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바람직한 주택 공급 대책으로 ‘무주택자를 위한 장기 임대 공공주택 공급 확대’가 1·2순위 응답률 66.5%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공공부문 중심의 공공주택 공급 확대’가 1·2순위 57.8%로 뒤를 이었다. 2030대는 ‘도심 주요 지역의 주택 공급 활성화’에 높은 응답률을 보였고 ‘무주택자를 위한 장기 임대 공공주택 공급 확대’는 소득과 자산이 낮을수록 높은 응답을 보였다고 연구원 측은 설명했다.

이번 조사 응답자들의 47.3%는 자신이 중도 성향이라고 밝혔다. 2019년 7월과 2020년 7월에 같은 조사에 비하면 보수층에서 중도층으로 이동한 개신교인이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2020년 조사에선 39.8%가 중도, 28.8%가 보수, 31.4%가 진보 성향이라고 답한 반면 이번 조사에서는 중도 성향이라는 답변이 7.5%p 높아졌고 보수 성향이라는 답변은 22.3%로 낮아졌다. 진보 성향이라는 답변은 30.4%로 이전 조사와 비슷한 수준이다.

응답자들의 42.4%는 차별금지법 제정에 찬성하고 31.5%는 반대하는 것으로도 조사됐다. 26.1%은 판단을 유보했다. 기본소득제 도입에 대해선 반대가 43.3%로 찬성(34.7%)보다 높았고 22%는 판단을 유보한다고 답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