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현주의 계절 밥상 여행] 싱싱한 제철 재료 가득한 밥상… 세계가 주목할 장수·건강 식단

[손현주의 계절 밥상 여행] 싱싱한 제철 재료 가득한 밥상… 세계가 주목할 장수·건강 식단

입력 2013-01-17 00:00
수정 2013-01-17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단순·간단한 제주음식

배추를 손으로 우두둑 분질러 넣고 된장을 심심하게 푼 국. 비늘과 내장 그대로 토장을 찍어 먹는 쉬자리(작은 자리). 멸치젓 쌈 싸 즐기는 양애와 콩잎. 각종 물회, 해산물 죽들….

제주 요리는 단순하다. 일에 쫓겼던 제주 여인들의 고단한 ‘생’이 밥상에 그대로 표현되어 있기 때문이다. 별 양념 없이 된장을 풀거나 물을 부어 날것으로 간단하게 먹었다. 쌀 재배가 쉽지 않아 잡곡이 주식이었고, 울안에는 사철 푸른 우녕밭(텃밭)이 있었다. 몇 걸음만 나가면 산과 바다가 있으니 신선한 제철 재료가 그대로 밥상에 올라왔다. 전 세계가 주목하는 슬로 푸드의 핵심 ‘로컬 푸드 0㎞’가 그대로 실현되고 있는 셈이다.

음식은 약이었다. ‘꽝’(뼈) 아픈데 겡이죽(게), 젖 부족한 산모는 아강발국(돼지족발), 홍역과 기침에는 꿩엿 등 민간요법이 음식 속에 그대로 배어 있다. 게다가 ‘자낭’(절약)과 ‘수눌음’(품앗이) 문화는 ‘돼지 한 마리 잡는 데 물 한 허벅’이라고 할 정도로 극도로 아끼면서 돼지고기 삶은 물까지 몸국을 끓여 먹을 정도로 버리는 것이 없었다. 쉰 보리밥조차 재활용했다. 누룩을 넣어 발효시킨 것이 대표적인 기호식품 ‘보리쉰다리’다. ‘낭푼 밥상’은 제주식 나눔 밥상이다. 밥을 낭푼이라는 놋그릇 하나에 담아 밥상 가운데 두고 온 식구가 같이 먹었다. 제주향토음식을 연구하는 오영주 제주한라대 교수는 “제주는 기후나 토질이 본토와 달라 제주만의 에스닉푸드(민족음식)가 발달했다”며 “싱싱한 제철재료를 얻을 수 있는 우영 밥상이야말로 세계가 주목하는 장수식단”이라고 설명했다.



2013-01-17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