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지방선거 최대 격전지로 떠오른 인천은 숨막히는 접전이 예상된다. 한나라당 안상수 후보의 3선 저지를 벼르는 민주당의 3선 국회의원 출신 송영길 후보의 추격이 매섭다. 안 후보가 송 후보를 7.9%p 차로 앞서고 있지만 이번 여론조사의 최대 오차범위가 6.90%p인 점을 감안하면 승패를 속단하기 어렵다. 부동층이 24.6%로 서울(11.8%), 경기(20.1~23.5%)에 비해 두텁다는 점도 당락의 변수가 될 전망이다. 2강 1약 구도 속에서 3.0%의 지지율을 보이는 진보신당 김상하 후보와 송 후보의 후보단일화도 박빙 승부를 판가름할 중요 변수로 떠오른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安 적극투표층·보수층에 우위
여론조사 결과 적극 투표 참여층의 지지도는 안 후보가 43.9%로, 35.2%를 기록한 송 후보보다 8.7%p 앞섰다.
연령대별로는 20대 유권자층에서 송 후보가 33.1%의 지지를 받아 안 후보를 7.1%p 앞선 반면 30대에선 0.6%p 차로 안 후보에 뒤졌다. 40대에선 송 후보가 안 후보를 4.4%p 차이로 앞선다. 반면 50대 이상 연령층에서는 안 후보가 송 후보보다 30.3%p 차이로 압도적 우세를 보였다. 선거 당일 투표율과 연령대별 투표 참여율이 초박빙 승부의 최종 승자를 판가름할 최대 변수가 될 것으로 보인다.
●宋 20·40대 4~7%p차 앞서
정치 이념 후보 지지도 측면에서 볼 때 보수성향층에서는 안 후보가 58.6%로, 송 후보(20.1%)보다 38.5%p 차이의 압도적 우세를 이끌어 냈다. 반면 진보성향층과 중도성향층에서는 송 후보가 안 후보를 각각 9.6%p, 6.6%p 앞섰다.
2006년 지방선거에서 안 후보를 지지했던 세력 가운데 21.5%가 송 후보 쪽으로 이탈한 것으로 나타난 반면 옛 열린우리당 최기선 후보의 지지세력 가운데 18.9%가 안 후보 쪽으로 옮겨간 것으로 조사돼 민주당의 지지 견고성이 약간 더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지지 정당 응집률 역시 한나라당 지지층의 79.6%만이 안 후보를 지지한 반면 민주당 지지층의 84.6%가 송 후보를 지지해 끈끈한 결집력을 보였다.
홍성규기자 cool@seoul.co.kr
2010-05-10 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15년 만에 단행된 카카오톡 대규모 개편 이후 사용자들의 불만이 폭증하고 있다. 애플리케이션을 내려받을 수 있는 구글 플레이스토어와 애플 앱스토어에는 “역대 최악의 업데이트”라는 혹평과 함께 별점 1점 리뷰가 줄줄이 올라왔고, 일부 이용자들은 업데이트를 강제로 되돌려야 한다며 항의하기도 했다. 여론이 악화되자 카카오는 개선안 카드를 꺼냈다. 이번 개편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