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오(얼굴) 특임장관이 지난 13일 트위터를 통해 이명박 대통령에게 공개적으로 부탁을 했다. 이 장관은 “짧은 지식이지만 국립중앙도서관 등에서 세계 고지도를 검토한 결과 이미 1700년대부터 세계 각국 지도에 (동해가) 동해도, 일본해도 아닌 ‘한국해’로 돼 있습니다.”라면서 “이번 8·15 기념사에 동해를 한국해로 표기하는 것이 옳다는 것을 천명해 주심이 어떻겠습니까?”라고 제안했다. 이 장관은 이어 “이것이 이명박 정부가 역사적 진실을 바로잡는 일”이라면서 “8·15 기념사에 독도에 대한 보다 명확한 영토 주권 선언을 해주실 것을 건의드린다.”고도 덧붙였다.
일찌감치 ‘독도 지킴이’를 자처한 이 장관이 이 대통령에게 ‘처음으로’ 전한 트위터를 두고 다양한 해석이 뒤따른다.
특히 ‘넘버 2 실세’로 통했던 이 장관이 왜 굳이 트위터를 통해 이런 얘기를 했을까가 의문이다. 이 장관은 “대통령께서 국무위원들도 트위터를 자주 이용하라고 해 트위터로 건의드린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대통령의 국정 운영 방향이 제시되는 8·15 경축사와 같은 중요한 사안에 대한 의견을 건네기에 트위터라는 수단은 가벼워 보인다. 실세였던 이 장관이라면 곧바로 전화를 걸거나 직접 찾아가 전하면 된다. 정말 권력과의 끈이 떨어져 트위터라는 구차한(?) 도구를 손에 잡은 건 아닐 것이다. 연일 독도 영유권 수호에 대한 강경 발언을 하고 있는 이 장관이 대중에게 보여주기 위한 이벤트라는 지적이 나올 수 있는 대목이다.
이 장관은 14일 한나라당 홍준표 대표의 ‘독도 해병대 주둔’ 주장에도 트위터로 “홍 대표님 견해에 찬성”이라면서 “해경함대와 해군함대가 번갈아 순시하는 것이 좋겠다.”고 한술 더 떴다.
이날 기상 악화로 연기됐지만 홍 대표가 독도를 찾으려 한 것이나 민주당 손학규 대표가 15일 독도 방문에 나서는 것도 오십보 백보로 보인다. 민감한 외교 사안일수록 대국민 생색 내기보다는 작더라도 실효성 있는 방안 하나가 소중해 보인다.
허백윤기자 baikyoon@seoul.co.kr
2011-08-15 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