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장 보선…‘무소속 변수’로 요동칠 듯

서울시장 보선…‘무소속 변수’로 요동칠 듯

입력 2011-09-04 00:00
수정 2011-09-04 10:4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1995년 지방선거와 유사한 구도 될 수도與 “안철수 대항마 찾아라” 野 “통합후보 선출사활”

10ㆍ26 서울시장 보궐선거 판도가 ‘무소속 변수’라는 태풍을 만나 크게 요동치면서 여야 정치권의 발걸음이 바빠지고 있다.

장밖 초대형 우량주인 안철수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장과 박원순 희망제작소 상임이사가 무소속 간판으로 보선에 뛰어들 채비를 갖춤에 따라 기존의 전통적인 여야 간 양자대결 구도가 ‘여ㆍ야ㆍ무소속’ 간의 3자 또는 그 이상의 다자구도로 치러질 공산이 커졌기 때문이다.

아울러 이번 선거가 무소속 정치신인 후보의 강세 전망 속에 ‘기성정치 대 신진정치’ 양상을 띨 것으로도 보여 그에 따른 전략을 새로 마련해야 하는 상황이다.

정치권은 20-30대 젊은층을 중심으로 한 안 원장의 대중적 인지도가 파괴력을 발휘할 경우 현재의 양당 구도를 허무는 것은 물론 결과에 따라서는 기존 정치질서의 재편을 초래하고, 더 나아가 내년 총선과 대선 판도까지 크게 뒤흔들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 있다.

구도상으로는 당시 여당인 민자당 정원식(20.7%), 민주당 조순(42.4%), 무소속 박찬종(33.5%) 후보가 맞붙은 지난 95년 서울시장 선거와 비슷한 형국이지만 안 원장의 파괴력을 가늠하기 어렵다는 점에서 여야 각 당은 대응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한나라당 지도부는 당내 인물로는 승리를 장담하기 어렵다는 판단에 따라 ‘안철수 대항마’ 찾기에 매진하고 있다.

홍준표 대표는 부정ㆍ부패와 무관하면서 자기 의무와 책임을 다하는 인물을 염두에 두고 있으나 아직까지 구체적인 진전은 없다고 한 측근이 전했다.

4일 현재 당 안팎에서 김황식 총리와 정운찬 전 총리, 맹형규 행정안전부 장관, 유인촌 전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박세일 한반도선진화재단 이사장 등의 이름이 오르내리고 있으며 친박(친박근혜) 일각에서는 이기태 전 삼성전자 부회장과 황창규 전 삼성전자 사장 등 유명 기업인을 영입하자는 의견을 개진하고 있다.

핵심 당직자는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어려운 선거이긴 하지만 3자구도로 치러질 경우 우리가 후보만 잘 내면 승리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민주당은 안 원장 출마설을 계기로 지지부진한 야권 통합후보 선출 논의에 속도를 내고 있다.

손학규 대표는 이번 서울시장 보선을 민주진보진영 통합의 출발점으로 보고 어떻게든 통합후보를 만들어낸다는 구상인 것으로 전해졌다.

민주당은 박 상임이사와 함께 안 원장까지 통합의 무대로 끌어들이기 위한 다각도의 방안을 고민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정장선 사무총장은 “박 상임이사는 물론이고 안 원장도 통합후보군에 들어오기를 기대한다”면서 “반(反)한나라 진영이 모여 통합후보를 선출하는 지혜를 짜내야 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김경 서울시의원, 서울시 온라인 홍보 3대 지표 성과 격려… “새로운 공공소통 모델 될 것”

서울시의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김경 의원은 지난 4일 제333회 정례회 홍보기획관 대상 행정사무감사에서 서울시가 운영하는 온라인 홍보 채널의 최근 성과를 집중적으로 점검하며 “짧은 기간 안에 상당히 큰 성과를 달성했다”며 “서울시 공공소통의 새로운 기준을 만들고 있다”고 평가했다. 김 의원은 먼저 서울시 유튜브 채널 성과를 언급하며 “조회수가 86% 증가해 연간 840만명이 시정 콘텐츠를 시청했고, 구독자 수는 26만명에 달한다”고 질의했다. 이어 “주 20회 이상 자체 콘텐츠를 제작·발행해 양적 확대가 뚜렷하다”며 “단순한 예산투입형이 아니라 자체 제작 콘텐츠의 질을 기반으로 달성한 성장”이라고 높게 평가했다. 김 의원은 “이 정도 수준의 성과라면 단지 시정 홍보를 넘어 공공 소통 모델로서 타 지자체 또는 정부부처와 공유할 가치가 충분하다”고 강조하며, 다른 지자체와의 협업 계획 여부를 질의했다. 이에 홍보기획관은 “필요하다면 언제든 협력 가능하다”고 답했다. 인스타그램 성과에 대해서도 김 의원은 상세히 점검했다. 김 의원은 “서울시 인스타그램 팔로워가 50만명(※ 실제 현행 약 54.2만명)으로, 2위 부산시의 약 19.7만명과 큰 격차를 보인다”며 “
thumbnail - 김경 서울시의원, 서울시 온라인 홍보 3대 지표 성과 격려… “새로운 공공소통 모델 될 것”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