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교육과학기술위원회의 19일 교육과학기술부 국정감사에서는 때 아닌 ‘국위선양자’ 논란이 벌어졌다. 민주당 김춘진 의원은 이날 오전부터 연세대 국위선양자 전형으로 입학한 학생의 명단을 교과부에 요구했다. 교과부는 한국대학교육협의회를 통해 연세대에서 자료를 받겠다고 답변했다. 하지만 저녁 늦게까지도 자료를 받지 못하자 김 의원은 “(과거) 최고 권력자의 손자가 국위선양자 전형으로 연세대에 입학했다는 제보를 받았다.”면서 “문제가 있으니까 자료를 못 주는 것 아니냐.”고 강하게 따졌다. 이주호 교과부 장관은 “실무자가 지금 최종 보고서를 만들고 있으니 내일(20일)까지 드리겠다.”고 말했다.
이미지 확대
김영삼 전 대통령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김영삼 전 대통령
연세대는 수시모집에 독립유공자, 국가유공자, 국위선양자의 손·자녀 등이 지원할 수 있도록 ‘사회 기여자 및 사회적 배려 대상자’ 전형을 두고 있다. 국위선양자 지원 자격은 ‘국내외에서 활동하면서 학술, 문화, 예술, 과학기술, 산업, 체육 분야 등에서 세계적으로 권위 있는 상을 수상했거나 업적을 내어 대한민국의 국위를 선양한 자 또는 그의 자녀 및 손자녀(외손 포함)’로 되어 있다.
연세대 입학처 관계자는 이에 대해 “학생 개인이 어떤 전형으로 입학했는지는 개인정보이기 때문에 밝힐 수 없다.”고 말했다. 그러나 김영삼 전 대통령의 손자가 지난해 이 대학 정치외교학과에 입학한 점으로 미루어 김 의원이 말한 인물은 김 전 대통령의 손자로 추정된다.
연세대 관계자는 이어 “사회기여자 전형의 경우 국위선양자인지에 대한 판단도 정해진 기준에 따라 하고 1단계 지원자격을 충족하면 2단계에서 학업성적으로 뽑는다. 부정이 개입할 여지가 없다.”고 주장했다. 또 “최근 감사원 감사에서도 입학관련 사항을 전수조사했는데 문제가 있었다면 드러났을 것”이라며 “마치 입학과정에 문제가 있는 것처럼 주장하면 학교로서도 억울한 일”이라고 주장했다.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