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 앞두고 요동치는 대선 여론

추석 앞두고 요동치는 대선 여론

입력 2012-09-23 00:00
수정 2012-09-23 07:5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안 후보가 일단 후보단일화에 선을 그음에 따라 당분간 3파전은 불가피하다.

현재까지는 ‘박근혜 1강(强), 문재인ㆍ안철수 2중(中)’ 구도라는 게 정치권의 대체적 분석이다. 박 후보가 견고한 지지층을 확보한 반면 문ㆍ안 후보의 지지층은 상당 부분 겹치기 때문이다.

아산정책연구원이 리서치앤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18∼20일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 3자 대결에서 박 후보는 39.9%로 1위를 고수했고 안 후보 28.8%, 문 후보 19.6% 등의 순이었다.

하지만 문ㆍ안 후보의 추격세가 거세다는 점에서 현재의 ‘1강 2중’ 구도가 깨질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실제 리얼미터가 지난 19∼20일 실시한 여론조사를 살펴보면 박 후보 35.9%, 안 후보 32.6%, 문 후보 19.7%로, ‘박근혜ㆍ안철수 2강, 문재인 1중’의 구도가 그려졌다.

또한 한국갤럽의 조사를 살펴보면 지난 10∼15일 박 후보 42%, 안 후보 20%, 문 후보 18%로 나타났으나, 17∼21일 박 후보는 39%로 하락한 반면 문ㆍ안 후보는 각각 22%, 28%로 상승한 점도 눈여겨볼 대목이다.

◇변화무쌍 40대 표심 = 이번 대선의 승부가 40대에서 갈릴 것이라는 관측이 적지 않다. 20∼30대와 50대 이상에서 나타나는 특정 후보로의 ‘표 쏠림 현상’이 40대에서는 일관되게 나타나지 않기 때문이다.

여론조사 기관이 제시한 40대 지지율이 저마다 다르다는 게 이를 반영한다.

한국갤럽의 17∼21일 양자대결 조사 결과 박 후보와 안 후보의 40대 지지율은 각각 39%와 52%로 13%포인트 차이였다. 박 후보와 문 후보의 40대 지지율은 각각 44%와 48%로 4%포인트 차에 불과했다.

하지만 리얼미터의 19∼20일 여론조사에서는 문ㆍ안 후보에 대한 40대의 지지성향은 더 뚜렷한 것으로 나타났다.

박ㆍ안 후보의 대결에서 박 후보 38.1%, 안 후보 57.6%로 19.5%포인트 차였고, 박ㆍ문 후보의 대결에서 박 후보 37.4%, 문 후보 56.2%로 18.8%포인트의 격차를 보였다.

정치권의 한 관계자는 23일 “40대의 경우 지지 후보를 미리 정해놓기보다 각종 이슈에 따라 관심 후보를 달리하는 성향이 강하다”며 “따라서 조사 시기 및 방법 등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다”고 밝혔다.

◇예측불허 수도권 = 문ㆍ안 후보가 대선행을 결정짓기 전인 열흘 전만 해도 수도권에서 박 후보의 상승세는 뚜렷했다.

하지만 지난 16일 문 후보가 대선후보로 확정되고 19일 안 후보가 출마선언을 하면서 박 후보의 수도권 지지율이 빠지는 상황이다. 이는 수도권이 ‘박근혜 악재’에 민감하게 반응한 것으로도 읽힌다.

리얼미터의 박 후보와 안 후보의 19∼20일 양자대결 결과 서울에서는 박 후보 41.9%, 안 후보 50.3%, 경기ㆍ인천에서는 박 후보 38.9%, 안 후보 55.7%로 각각 집계됐다.

문 후보의 맞대결에서도 박 후보는 서울, 경기ㆍ인천에서 모두 뒤졌다.

최근 박 후보가 안 후보 및 문 후보와의 양자 대결에서 추월을 허용한 것도 이 같은 수도권의 표심 변화가 견인한 것으로 보인다.

◇문ㆍ안 단일화 성사시 표심이동은 = 문 후보와 안 후보의 단일화 가능성은 여전히 열려있다.

따라서 3파전에서의 문 후보 또는 안 후보의 지지층이 단일화 성사시 어떤 선택을 할지 주목된다.

리얼미터의 19∼20일 여론조사 결과를 분석하면 다자대결에서 문 후보를 지지하겠다고 한 응답자의 77.6%가 ‘박근혜 대 안철수’ 양자대결에서 안 후보를 지지하겠다고 답했다.

반대로 다자대결에서 확인된 안 후보 지지층의 74.1%가 ‘박근혜 대 문재인’ 양자대결에서 문 후보를 선택했다.

각각의 경우에서 박 후보가 흡수한 지지층은 15% 안팎이었다.

이는 누구로 단일화가 되든 문ㆍ안 후보 지지층의 상당규모가 단일 후보에 표를 던질 것이라는 것을 짐작케 한다.

동시에 문 후보보다 안 후보의 표의 확장성이 미세하나마 좀더 크다는 해석도 가능하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