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조 친박, 당직 독식에 부담… 계파보다 능력 우선할 수도

황우여(오른쪽) 새누리당 대표와 최경환 신임 원내대표가 16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중진연석회의에서 당 운영 방안 등을 논의하고 있다.
개편의 핵심은 당의 살림을 책임지는 사무총장과 제1·제2사무부총장, 대야 실무협상을 주도하는 원내수석부대표, 지도부와 원내대표단의 ‘입’ 역할을 하는 당·원내 대변인 등이 꼽힌다. 지난 15일 원내대표 선거 이전만 해도 후보군에는 ‘원조 친박(親朴·친박근혜)계’가 하마평에 주로 오르내렸다. 그러나 최경환 신임 원내대표가 진땀승을 거두면서 ‘당내 소통’이 변수로 부상했다. 특정 세력이 주요 당직을 ‘독식’하는 게 쉽지 않아졌다는 얘기다.
사무총장의 경우 원조 친박인 홍문종(3선) 의원이 유력하다는 얘기가 나오는 가운데 비박계 원유철(4선), 범박근혜계 이완구(3선) 의원 등도 후보군으로 평가된다. 황우여 대표는 16일 사무총장 인선과 관련, “(후보군은) 3~4명”이라고 말했다. 황 대표는 오는 20일 최고위원회의에서 추가 논의를 거친 뒤 최종 인선안을 확정할 것으로 전해졌다.
최 원내대표도 20일을 전후로 원내지도부를 확정할 계획이다. 원내 핵심 관계자는 “선거 결과를 반영해 인선안에 대해 원점에서 재검토하고 있다”면서 “계파보다는 능력을 최우선 기준으로 삼을 것”이라고 말했다. 원내수석부대표 후보로는 윤상현(재선) 의원이 거론됐으나, 비박(非朴)계 중에서 ‘깜짝 발탁’할 가능성도 있다.
장세훈 기자 shjang@seoul.co.kr
2013-05-17 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