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대통령 반대정서 생기면 정치적 공간 확대 여지, 安세력과 시민세력 두축 구성 대안세력 경쟁 예상도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4주기(23일)가 다가오면서 지난 10년간 야권의 중심축이었던 친노(친노무현) 세력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친노는 한때 폐족(廢族)을 자임했으나 노 전 대통령의 서거와 함께 부활했다. 지난해 총선에서 민주통합당 이름으로 약진했고, 대통령선거에서는 친노 핵심 문재인 후보가 48%나 득표했다.
물론 세력은 약화됐다. 구심력도 애매해 재도약과 쇠퇴의 갈림길에 서 있다는 평도 나온다. 안 지사가 “계파로서 친노는 없다”고 했을 정도다. 유시민 전 의원 세력도 친노에서 이탈했다. 민주당 내 친노도 문성근 전 대표대행이 탈당하는 등 정체성의 위기를 겪고 있다. 특히 안철수 무소속 의원이 시민정치 세력의 한 축을 담당하면서 친노는 더욱 약화됐다.
친노의 정치적 장래는 크게 박근혜 대통령과 안철수 의원 두 요소에 좌우될 것으로 평가된다. 박 대통령에 대한 반대정서가 생길 경우 친노의 공간은 넓어질 여지가 있다. 안 의원은 현재 정치적으로 세력이 없고, 미숙성을 보이고 있다. 민주당 내 비노(비노무현) 역시 확실한 대안 세력으로서 존재감이 약하다. 이런 상황이 친노의 존재 여지다.
동시에 친노 한계도 거론된다. 친노는 반이명박 정서를 업고 부활했지만 자신들만의 정체성이나 비전, 철학을 제시하지 못했다. 당분간 안철수 세력과 시민정치의 중요한 두 축을 구성한 채 시민정치 대안세력 경쟁을 펼칠 것으로 보인다. 두 진영이 시민정치 세력을 균점할 수 있고, 한 쪽으로 세력이 쏠릴 수도 있다. 두 시민정치 세력과 민주당 내 비노의 경쟁이 야권 재편의 핵심 변수다.
김종배 정치평론가는 “노 전 대통령에 기대 정치를 해 온 친노는 현재는 느슨한 정치적 네트워크에 불과하다는 인상까지 준다”면서 “자신들만의 비전과 정치적 에너지를 보여주느냐에 따라 영속 가능성이 갈리게 될 것이다. 안철수 세력이 아직 약하고 미숙한 데다, 민주당 내 비노 세력도 개혁성에서 밀리고, 대중적인 호소력도 떨어진 게 친노의 존재 공간이 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춘규 선임기자 taein@seoul.co.kr
2013-05-21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