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불복 선언· ‘선친 전철’ 발언 파문…정국 급랭

대선불복 선언· ‘선친 전철’ 발언 파문…정국 급랭

입력 2013-12-09 00:00
수정 2013-12-09 11:4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장하나 불복선언’ 이어 양승조 “朴대통령, 선친 전철 가능성”與 “양승조 의원직 사퇴해야”…장하나도 의원직 제명 검토

민주당 장하나 의원의 ‘대선 불복 선언’에 이어 민주당 지도부인 양승조 최고위원이 박정희 전 대통령 암살 사실을 언급하며 박근혜 대통령도 선친의 전철을 밟을 수 있다고 말해 파문이 일고 있다.
이미지 확대
양승조 민주당 최고위원이 9일 오전 국회 당대표회의실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박정희 전 대통령이 중앙정보부에 의해 암살된 사실을 언급하면서 박근혜 대통령도 선친인 박 전 대통령의 전철을 밟을 수 있다고 말해 논란이 예상된다.  연합뉴스
양승조 민주당 최고위원이 9일 오전 국회 당대표회의실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박정희 전 대통령이 중앙정보부에 의해 암살된 사실을 언급하면서 박근혜 대통령도 선친인 박 전 대통령의 전철을 밟을 수 있다고 말해 논란이 예상된다.
연합뉴스


새누리당은 격앙된 반응 속에 양 최고위원에게 당장 의원직을 사퇴하라고 요구하고 나섰다.

아울러 새누리당은 장 의원에 대해서도 국회 윤리위원회 제소 방침을 확정하고 의원직 제명안 제출까지 검토하면서 ‘4자 회담’ 타결로 가까스로 안정을 찾아가던 연말 정국이 다시 빠르게 얼어붙고 있다.

양 최고위원은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박정희 전 대통령은 ‘중정(중앙정보부)’이란 무기로 공안통치와 유신통치를 했지만, 자신이 만든 무기에 의해 암살당하는 비극적 결과를 예상하지 못했을 것”이라며 “박 대통령은 박 전 대통령의 교훈을 타산지석으로 삼아야 하는데, 국정원을 무기로 신공안통치와 신유신통치로 박 전 대통령의 전철을 밟을 수 있다는 경고를 새겨들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여권에서는 양 최고위원의 발언이 지난 7월 민주당 홍익표 전 원내대변인의 박 대통령을 겨냥한 ‘귀태(鬼胎.태어나지 않아야 할 사람) 후손’ 발언보다 더 수위가 센 것으로 받아들이고 있어 매우 강경한 대응이 예상된다.

특히 전날 장 의원이 대선 결과 불복을 ‘공식 선언’하고 박 대통령의 즉각 사퇴를 요구한 여파가 채 가시기도 전에 양 최고위원의 돌출 발언이 터져 나오면서 정국이 다시 거센 격랑 속으로 빠져드는 형국이다.

새누리당 김태흠 원내대변인은 구두논평에서 “민주당이 대선 한풀이로 금기를 넘는 일이 자주 있었지만, 양 최고위원의 발언은 국민과 국가원수에 대한 모독”이라면서 “양 최고위원은 즉각 국민과 대통령에게 사과하고, 의원직을 사퇴하라”고 요구했다.

최경환 원내대표는 최고위원회의에서 민주당에 대해 “당 대표의 공식 사과와 함께 장 의원에 대해 출당 또는 제명 조처를 해야 대선 결과에 승복한다는 진정성을 인정받을 것”이라며 “장 의원을 즉시 윤리위에 제소하고 국회 차원의 징계 절차에 착수할 것”이라고 말했다.

새누리당은 오후 긴급 의원총회를 열어 양 최고위원과 장 의원의 국회 징계 문제를 포함한 대응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민주당 지도부도 곤혹스럽다는 반응이다.

전날 장 의원의 ‘불복 발언’을 진화하느라 부심하는 상황에서 이번엔 당 지도부의 일원이 대통령의 ‘불행한 가족사’까지 거론하며 직격탄을 날리자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이에 따라 민주당은 새누리당의 총공세에 일단 대응을 자제하면서 상황을 잠시 지켜보는 모습이다.

그러나 이석현, 정청래 의원 등은 장 의원의 발언을 옹호하고 나서는 등 강경파들은 지도부와 다른 기류를 보이고 있어 민주당 내부에서도 논란이 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민주당 관계자는 “이 문제를 언급해 괜히 이슈를 키우는 것은 좋을 게 없다는 판단 아래 대응 방안을 고민 중”이라며 “장 의원 등의 행동이 옳지 않았다는 데 대부분 공감하나 당내 기류를 고려하면 섣불리 대응하기 어렵다”고 털어놨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