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서울시장 경선 2차 TV토론’안전 시정’ 화두

與 서울시장 경선 2차 TV토론’안전 시정’ 화두

입력 2014-04-29 00:00
수정 2014-04-29 10:5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과시성 선거운동·네거티브 공방 자제…대구시장 후보 선출

새누리당의 6·4 지방선거 서울시장 경선전이 29일 모처럼 재개된 2차 TV토론을 기점으로 후반전에 들어갔다.

세월호 참사로 지난 16일부터 중단됐던 경선 일정이 2주 만에 재개된 것이다.

서울시장 예비후보인 정몽준 의원과 김황식 전 국무총리, 이혜훈 최고위원은 이날 오후 MBN을 통해 두 번째 TV토론을 벌인다.

종전에는 정 의원의 현대중공업 주식 백지신탁이나 김 전 총리의 병역기피 의혹 등 네거티브 검증전이 경선전을 달궜지만 세월호 참사로 인해 자칫 정치공방으로 비칠 수 있는 ‘검증 카드’를 다시 꺼내기는 어려운 분위기다.

대신 이번 참사를 계기로 정부의 재해·재난 대응 체계에 심각한 허점이 드러난데다 국민의 관심 역시 재난 대책에 맞춰지면서 경선전에서도 ‘안전’이 화두로 부상하는 형국이다.

이에 따라 예비후보들은 이날 2차 토론회를 비롯해 내달 12일 경선까지 10여 일 동안 ‘안전 대책’에 초점을 맞출 것으로 보인다.

실제 정 의원과 김 전 총리, 이 최고위원 모두 안전을 주제로 토론 준비를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가운데 경선 후보들은 세월호 희생자들에 대한 전국적인 추모 열기를 의식해 과시성의 떠들썩한 선거운동을 일절 자제하고 ‘낮은 자세’의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일례로 정 의원은 재해·재난 관련 시설들을 비공개 방문했고, 김 전 총리는 재래시장이나 노후주택 등 안전등급이 낮은 지역을 ‘조용히’ 찾은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최다 후보가 출마해 ‘죽음의 조’로 불리며 가장 관심을 모았던 대구시장 후보 경선도 이날 진행된다.

대구체육관에서 열리는 후보선출 대회에서는 서상기 조원진 의원과 권영진 전 의원, 이재만 전 동구청장 등 예비후보 4명의 홍보물 상영과 정견발표 등이 진행된데 곧바로 투표와 개표가 이어진다.

막판까지도 뚜렷하게 우열을 가리기 쉽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이명수 홍문표 의원, 정진석 전 국회사무총장이 맞붙은 충남지사 후보 경선은 이날 도내 15곳에서 투표를 분산 진행하되 투표 결과는 30일 발표된다.

김기덕 서울시의원, ‘연남교·중동교 보도폭 4배 확장’ 주민 숙원 풀려

서울시의회 김기덕 시의원(더불어민주당·마포4)은 지난 20일, 서울시에서 보도된 ‘서울시, 연남교·중동교 보도폭 4배 확장...경의선 숲길까지 걷기 편한 도시숲 완성’ 과 관련해, 연남교 및 중동교 상부 도로 양방향 통행 가능 데크형 구조물 개조는 물론, 충분한 보행 공간 확보로 병목 현상 등 해결을 통한 단절된 보행 흐름 개선 및 보행자 안전에도 기여할 것이라며 오랜 주민 숙원이 풀리게 됨을 크게 환영했다. 올해 12월 준공 목표인 ‘경의선 숲길 연결교량(홍제천~불광천) 보행환경 개선사업’은 사업비 8억 1400만원으로 추진하는 사업으로, 연남교(현 보도폭 B=0.8m, L=60m)와 중동교(현 보도폭 B=0.6m, L=60m)일대 교량 편측 보도부에 캔틸레버형 인도교(B=2.5m)를 확장하는 사업이다. 흔히 ‘연트럴파크’라고 일컫는 ‘경의선 숲길’ 또한 녹지가 부족했던 마포구에 활력은 물론, 공원을 따라 새로운 상권이 형성된 서북권 발전의 하나로서, ‘경의선 숲길 연결교량(홍제천~불광천) 보행환경 개선 사업’은 지난 2022년 8월, 김 의원의 ‘수색역세권 보행네트워크 구축’ 선도사업제안으로 힘을 실어준 사업의 일환이다. 이후 본 사업은 2023년
thumbnail - 김기덕 서울시의원, ‘연남교·중동교 보도폭 4배 확장’ 주민 숙원 풀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