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몽준 “서울은 위험”…연일 공격적 캠페인

정몽준 “서울은 위험”…연일 공격적 캠페인

입력 2014-05-20 00:00
수정 2014-06-10 10:5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건물 안전위험’ 충암고 방문…朴후보 ‘시정활동’ 겨냥

6·4 서울선거에 나선 새누리당 정몽준 후보는 20일 박원순 후보의 재임기간 안전, 복지 정책의 허점을 파고들었다.

도전자 신분으로 세월호 참사 이후 각종 여론조사에서 뒤지는 것으로 나타난 정 후보는 전날 관훈클럽 TV토론회에서 용산개발 지체, 과도한 규제, 박 후보의 이념적 정체성 문제를 집중 제기한 연장선상에서 공세적 캠페인을 이어갔다.

정 후보는 이날 오전 박 후보에 앞서 대방동 서울여성프라자에서 열린 사회복지사협회 주최 ‘사회복지정책토론회’에 참석해 “경찰청 자료를 근거로 5대 범죄 발생률을 본다면 서울이 전국 최상위권”이라면서 “서울은 위험한 도시”라고 말했다.

정 후보는 복지 분야에 대해서도 “오세훈 전 시장 시절 그물망 복지를 했고, 박 후보는 서울형 복지를 했는데 서울형 복지는 시행률이 15%에 불과하다는 얘기를 들었다”면서 “복지에 큰 그림이 보이지 않아 안타깝다”고 지적했다.

그는 송파 세모녀 사건 자살 사건도 기초생활 수급을 신청했다 탈락한 데서 원인을 찾고 서울시의 복지 정책을 문제 삼았다.

토론회 직후 정 후보는 서울시교육청으로부터 ‘재난위험시설’로 분류된 은평구의 충암고를 방문해 노후한 학교 건물의 안전점검 실태를 파악하며 서울시의 안전 관리 실태를겨냥하기도 했다.

이와 함께 서울시의 불합리한 규제도 거듭 비판했다.

정 후보는 “지금 서울에 있는 100여개의 유휴부지 가운데 30개에 사업 신청서가 제출돼 있지만 서울시는 단 3개만 허가했다”면서 “서울시는 허가를 해주면 주변 땅값이 올라 특혜 시비가 있다고 말하지만, 좋은 투자는 많이 해서 일자리를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 후보는 “서울시는 용적률을 조례로 50%씩 깎고 있는데 이 때문에 헌법 위의 조례라는 말이 나온다”고 비판했다.

정 후보는 오후 숙명여대에서 서울 소재 16개 대학으로 이뤄진 언론연합회와 인터뷰를 하고 상대적으로 취약한 젊은 표심을 공략했다.

김경 서울시의원, 서울시 온라인 홍보 3대 지표 성과 격려… “새로운 공공소통 모델 될 것”

서울시의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김경 의원은 지난 4일 제333회 정례회 홍보기획관 대상 행정사무감사에서 서울시가 운영하는 온라인 홍보 채널의 최근 성과를 집중적으로 점검하며 “짧은 기간 안에 상당히 큰 성과를 달성했다”며 “서울시 공공소통의 새로운 기준을 만들고 있다”고 평가했다. 김 의원은 먼저 서울시 유튜브 채널 성과를 언급하며 “조회수가 86% 증가해 연간 840만명이 시정 콘텐츠를 시청했고, 구독자 수는 26만명에 달한다”고 질의했다. 이어 “주 20회 이상 자체 콘텐츠를 제작·발행해 양적 확대가 뚜렷하다”며 “단순한 예산투입형이 아니라 자체 제작 콘텐츠의 질을 기반으로 달성한 성장”이라고 높게 평가했다. 김 의원은 “이 정도 수준의 성과라면 단지 시정 홍보를 넘어 공공 소통 모델로서 타 지자체 또는 정부부처와 공유할 가치가 충분하다”고 강조하며, 다른 지자체와의 협업 계획 여부를 질의했다. 이에 홍보기획관은 “필요하다면 언제든 협력 가능하다”고 답했다. 인스타그램 성과에 대해서도 김 의원은 상세히 점검했다. 김 의원은 “서울시 인스타그램 팔로워가 50만명(※ 실제 현행 약 54.2만명)으로, 2위 부산시의 약 19.7만명과 큰 격차를 보인다”며 “
thumbnail - 김경 서울시의원, 서울시 온라인 홍보 3대 지표 성과 격려… “새로운 공공소통 모델 될 것”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