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인덕 전 통일부 장관
그는 ‘일본인 납치 피해자 문제 해결 전망’ 제목의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현안진단 보고서에서 “이번 합의는 일본 정부의 적극적인 이니셔티브 발휘와 김정은 정권이 직면한 국내외 난관을 돌파하기 위한 계기 마련 요구가 조합하여 이루어진 결과물”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이어 “(납치문제 해결을 위한) 아베 정권의 결연한 의지로 볼 때, 북한 측이 최악의 거부 조건을 제시하고 회담 지속을 거부하지 않는 한 일본 측은 강한 인내심과 집요한 추궁을 거듭하면서 의미 있는 성과를 산출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강 전 장관은 최근 10년간 일본 세이가쿠인(聖學院)대학에서 초빙교수로 강의해 일본 정부의 대북정책에 정통하며, 정부의 국가안보자문단 통일 및 북한분야 자문위원도 맡고 있다.
강 전 장관은 일본의 대북독자제재 해제와 관련, “북한 측이 특별조사위원회를 조직해 사업을 시작하는 시점에서 일본 측이 독자적으로 실시한 제재조치를 해제하기로 약속한 이상, 일본 정부는 언제나 상응하는 조치를 취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제재 해제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대북제재의 상충 가능성에 대해 “일본 정부가 한·미 및 유엔 안보리 관련 국가와의 긴밀한 협조를 유지하여 말 그대로 인도적 조치라고 공인되는 부분에서의 제재완화를 실시한다면 그럭저럭 넘어갈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