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대통령 21일 귀국… 결단 관심
박근혜 대통령이 21일 밤 중앙아시아 순방을 마치고 귀국함에 따라 ‘문창극 국무총리 후보자 사태’가 중대 고비를 맞게 됐다.
연합뉴스
화재대피 훈련 참여
정부가 20일 세월호 참사 이후 첫 민방위 훈련을 실시한 가운데 문창극 국무총리 후보자가 정부서울청사 창성동 별관에서 코와 입을 막은 채 화재대피 훈련에 참여하고 있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여권 소식통은 “박 대통령이 문 후보자 임명동의안의 국회 제출을 강행할 가능성은 극히 희박하다”면서 “박 대통령 입장에서는 문 후보자가 자진 사퇴하는 게 최상의 시나리오”라고 했다.
박 대통령이 귀국 후 가장 먼저 할 일은 문 후보자에 대한 자진 사퇴 설득으로 예상된다. 문 후보자가 “(어느 누구로부터도) 사퇴하라는 얘기를 들은 적이 없다”고 주장하고 있는 만큼 대통령의 실제 의중을 명확하게 전달할 필요가 있다는 얘기다. 하지만 박 대통령이 직접 문 후보자를 만날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
여권 관계자는 “박 대통령이나 청와대 비서실장이 직접 문 후보자를 만나 자진 사퇴를 설득하기에는 정치적 부담이 큰 만큼 청와대 정무수석 등을 통해 대통령의 뜻을 전달할 가능성이 높지 않겠느냐”고 했다.
문제는 문 후보자가 박 대통령의 뜻을 전달받은 뒤에도 인사청문회까지 가겠다면서 사퇴를 거부하는 경우다. 이렇게 되면 어쩔 수 없이 박 대통령이 ‘지명 철회’라는 최후의 수단을 동원할 수밖에 없을 것으로 보인다. 여론이 악화되는 상황에서 국정공백을 하염없이 방치할 수 없기 때문이다.
한국갤럽이 지난 17~19일 실시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박 대통령의 국정수행 지지도는 부정 평가(48%)가 긍정 평가(43%)보다 5% 포인트 높았다.
박 대통령에 대한 부정 평가가 긍정 평가를 앞선 것은 취임 후 처음이어서 심상치 않다. 박 대통령 입장에서는 문 후보자 문제에 따른 지지율 하락세를 조속히 반전시켜야 하는 상황인 것이다.
하지만 지명 철회 카드는 정치적 부담이 크다는 점에서 청와대의 고민이 깊다. 대통령이 총리 후보자와 충돌하는 모습인 데다 대통령 스스로 인사 잘못을 시인하는 격이 되기 때문이다.
여권 관계자는 “박 대통령이 21일 밤 귀국하면 주말을 거쳐 주초까지 문 후보자에 대한 설득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면서 “하지만 다음주 중반까지도 문 후보자가 사퇴하지 않는다면 부득이 지명 철회 수순을 밟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김상연 기자 carlos@seoul.co.kr
아슈하바트(투르크메니스탄) 이지운 기자 jj@seoul.co.kr
2014-06-21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