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무성 “연금 적자도 국가부채 넣어야” 최경환 “국제기준은 정부 재정만 포함”

김무성 “연금 적자도 국가부채 넣어야” 최경환 “국제기준은 정부 재정만 포함”

입력 2014-09-24 00:00
수정 2014-09-24 03:2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재정건전성 2R 신경전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와 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3일 국가 재정건전성을 놓고 ‘은근한’ 2라운드를 벌였다.

최 부총리는 이날 내년도 예산안 설명을 위한 국회 기획재정위원회와의 당정협의 직후 의원회관에 있는 김 대표 방을 인사차 찾았다. 내년도 예산안 및 세법 개정안 처리에 대해 여당 대표에게 협조를 구하기 위한 자리였다.

앞서 11일 재정건전성을 두고 김 대표와 벌인 신경전을 의식한 듯 두 사람은 화기애애한 분위기 연출에 신경을 썼다. 최 부총리는 김 대표에게 웃으며 “우리 뽀뽀나 한번 하실래요”라고 농담을 던졌다. 김 대표도 기자들을 향해 “또 설전이라고 쓰지 말라”며 최 부총리를 맞았다.

그러나 이런 분위기는 이내 사그라졌다. 김 대표는 “공무원연금 같은 것은 올해 몇 조가 펑크가 나느냐”면서 “그것을 국가부채에 넣어야 한다는 것이 내 생각인데 계산에서 빠졌다”고 지적했다. 최 부총리가 “국제적 기준은 일반 정부 재정만(포함시킨다)… 그런 기준을 관리하고 있다”고 답하자, 김 대표는 “(나라마다) 상황이 다른데 국제기준이 어디 있느냐”고 맞받았다.

김 대표는 “공기업이 문제가 되면 국가 예산으로 메워야 하니까 (국가부채에) 넣어야 한다는 것이 내 주장”이라면서 지난 11일에 이어 동일한 국가부채론을 펼쳤다. 최 부총리는 “정부로서는 공기업을 포함해 부채가 늘어나는 것을 소홀히 해서는 안 되고 재정건전성에 상당히 유념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재연 기자 oscal@seoul.co.kr
2014-09-24 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