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년 여론조사] 대권주자 1위의 ‘부진’… 서울시향·제2롯데월드 악재로

[신년 여론조사] 대권주자 1위의 ‘부진’… 서울시향·제2롯데월드 악재로

입력 2015-01-07 00:16
수정 2015-01-07 03:4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박원순 시장 부정평가 많아진 이유는

서울신문이 에이스리서치에 의뢰, 실시한 광역단체장 직무수행 평가 여론조사에서 박원순 서울시장의 부진이 눈에 띄었다. 박 시장의 직무수행에 대해 부정 평가(44.6%)가 긍정 평가(36.2%)보다 8.4% 포인트 많았다. 지난해 6·4 지방선거에서 56.12%의 득표율로 2위 정몽준 전 새누리당 의원을 13.1% 포인트 차로 압도한 데 비해 부정 여론이 많이 형성된 셈이다.

이미지 확대
같은 표본을 대상으로 한 ‘현역 정치인 중 차기 대선후보 선호도 조사’에서 박 시장이 13.9%로 1위에 오른 점을 감안하면 ‘정치인 박원순’과 ‘서울시장 박원순’ 간 ‘이미지 균열’이 엿보인 대목이라고 에이스리서치는 6일 평가했다. 서울시립교향악단 박현정 대표의 폭언 논란, 동성애 논란에 따른 서울시민인권헌장 무산, 제2롯데월드 개장 허가 논란 등 지난해 하반기부터 각종 시 행정에 따른 잡음이 직무수행 평가에 악재로 작용했다는 분석도 나왔다.

다른 시·도지사 직무수행 평가와 비교해 박 시장에 대한 평가는 두 가지 측면에서 이례적이다. 우선 재선 이상 광역단체장 중 유일하게 부정 평가가 긍정 평가보다 많았다. 광역단체장에 대한 긍정 평가 비율을 보면 3선인 김관용 경북지사(60.6%)가 가장 높았다. 재선 중에선 최문순 강원지사(51.3%), 안희정 충남지사(50.0%), 홍준표 경남지사(46.9%), 이시종 충북지사(42.1%) 순이다. 박 시장은 재선 이상 중 유일하게 긍정 평가가 40% 미만인 광역단체장이 됐다.

대권 잠룡으로 분류되는 단체장들 중에서도 박 시장은 특별히 야박한 직무수행 평가를 받았다. 재선인 안 충남지사와 홍 경남지사뿐 아니라 초선인 원희룡 제주지사(55.0%), 남경필 경기지사(44.9%) 등도 무난하게 긍정 평가 40%대 고지를 넘었다.

박 시장 직무수행을 부정적으로 평가한 직업군은 자영업(48.7%)·전업주부(46.9%)·블루칼라(41.4%)에 많이 포진했다. 화이트칼라 중 박 시장 직무수행에 대한 부정 평가(40.4%)는 긍정 평가(46.5%)보다 적었다.

연령별로는 50대에서 박 시장 직무수행에 대한 긍정 평가(41.2%)와 부정 평가(49.4%)가 엇갈렸다. 이 같은 결과는 역으로 50대가 박 시장의 직무수행을 특히 주목하고 있음을 드러냈다. 직무수행 평가와 관련, 50대의 무응답률은 9.4%에 그쳤다. 다른 연령대의 무응답률은 20대(26.4%)·30대(22.9%)·40대(23.2%)·60대 이상(14.1%)으로 60대 이상을 제외하면 20% 이상이었다.


김용일 서울시의원, 북가좌동 골목 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 참석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회에서 의정활동하고 있는 김용일 의원(서대문구 제4선거구, 국민의힘)은 지난 7일 북가좌동 골목 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에 참석했다고 밝혔다. 이날 총회에는 서울신용보증재단 손명훈 서대문지점장, 박정수 회장 등 상인회 관계자, 정재원 동장 등이 함께했다. 이번 총회는 북가좌2동 먹자골목의 상인들이 힘을 모아 골목형상점가로 지정받기 위한 첫걸음이었다. 무더위와 휴가철로 인해 상인들의 참석이 저조하여 아쉬움이 있었지만, 상인들은 골목상권 활성화에 대한 강한 의지를 보였다. 골목상권 구획화 및 육성지원 사업은 정책 사각지대에 놓인 골목상권을 상권 단위로 체계적으로 구획화하고, 골목형상점가 지정을 통해 상권 활성화와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사업이다. 골목형 상점가란 ‘전통시장 및 상점가 육성을 위한 특별법’ 제2조제2호의2에 따라 소규모 점포들이 일정 구역에 밀집된 지역으로, 전통시장이나 일반 상점가로 지정되기 어려운 골목상권을 보호하고 지원하기 위해 도입된 제도로 2000㎡ 이내의 면적에 소상공인이 운영하는 점포가 30개 이상(서대문구는 25개) 밀집하여 있는 구역을 말한다. 골목형상점가 지정 시 온누리상품권 가맹점 가맹이나 정부 및 지자체
thumbnail - 김용일 서울시의원, 북가좌동 골목 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 참석

홍희경 기자 saloo@seoul.co.kr
2015-01-07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