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안함 5주기… 그날의 희생을 기리며 해군 장병 46명이 목숨을 잃은 천안함 폭침 5주기가 23일 사흘 앞으로 다가왔다. 서해 최북단 백령도는 그날의 충격을 잊은 듯 평온해 보이지만 주민들은 북한 급습에 대한 불안감이 여전하다. 사진은 지난 16일 천안함 46용사 위령탑에서 한 해병이 동판에 새겨진 희생자의 얼굴을 매만지는 모습. 위령탑은 2011년 천안함 폭침 지점에서 2.5㎞ 떨어진 야산에 마련됐다. 사진공동취재단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천안함 5주기… 그날의 희생을 기리며
해군 장병 46명이 목숨을 잃은 천안함 폭침 5주기가 23일 사흘 앞으로 다가왔다. 서해 최북단 백령도는 그날의 충격을 잊은 듯 평온해 보이지만 주민들은 북한 급습에 대한 불안감이 여전하다. 사진은 지난 16일 천안함 46용사 위령탑에서 한 해병이 동판에 새겨진 희생자의 얼굴을 매만지는 모습. 위령탑은 2011년 천안함 폭침 지점에서 2.5㎞ 떨어진 야산에 마련됐다. 사진공동취재단
해군 장병 46명이 목숨을 잃은 천안함 폭침 5주기가 23일 사흘 앞으로 다가왔다. 서해 최북단 백령도는 그날의 충격을 잊은 듯 평온해 보이지만 주민들은 북한 급습에 대한 불안감이 여전하다. 사진은 지난 16일 천안함 46용사 위령탑에서 한 해병이 동판에 새겨진 희생자의 얼굴을 매만지는 모습. 위령탑은 2011년 천안함 폭침 지점에서 2.5㎞ 떨어진 야산에 마련됐다.
사진공동취재단
2015-03-23 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