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의 원내사령탑을 놓고 벌써부터 최소 6파전을 예고하는 각축전이 물밑에서 전개되고 있다.
내년 5월까지가 임기인 차기 원내대표는 20대 총선 공천에서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자리여서 어느 때보다 경쟁이 치열하게 전개되는 분위기다.
특히 당권이 친노로 넘어간 상황에서 최소한 원내대표라도 확보하지 못하면 공천을 보장받기 어려울 수 있다는 불안감이 비노 의원들 사이에 만연한 탓에 이번 원내대표 경선은 계파 대리전으로 비화할 가능성이 크다.
5월 둘째주로 예정된 경선이 한 달 이상 남았음에도 이미 선거전에 뛰어들었거나 자천타천으로 거론되는 후보만 최소 6명에 이르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29일 새정치연합 의원들의 말을 종합하면 4선의 이종걸 의원이 원내대표 3수를 사실상 공식화한 가운데 3선의 김동철 박기춘 설훈 조정식 최재성 의원이 경선 레이스에 사실상 발을 담갔다.
문재인 대표의 ‘복심’인 노영민 의원의 경우 일단 불출마 쪽으로 기울었으나 출마 가능성을 완전히 닫지는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노 의원까지 출마하면 모두 7명이 경쟁하게 된다.
이종걸 의원과 김동철 의원은 중도 성향의 비노 의원 그룹인 ‘민주당의 집권을 위한 모임’ 소속이고, 박 기춘 의원은 박지원계로 분류되면서 비노와도 가까운 편이다.
동교동계 출신인 설훈 의원은 민평련(고 김근태 의장 계보) 소속이며 조정식 의원은 손학규계, 최재성 의원은 정세균계로 각각 분류된다.
지역구로는 김 의원을 제외한 나머지가 전원 경기도 출신이라는 점이 눈에 띈다. 현 지도부에 경기 지역구 의원이 한 명도 포함돼 있지 않다는 사실과 무관치 않아 보인다. 내년 총선을 앞두고 수도권 원내대표가 유리할 것이라는 당내 정서도 감안된 것으로 관측된다.
당내 모든 계파가 거의 총출동한 가운데 노영민 의원이 불출마할 경우 무주공산이 되는 친노 표심을 획득하기 위한 후보들의 물밑 노력도 치열한 것으로 전해졌다.
해당 후보들은 사실상 경선 모드에 들어갔음에도 정식으로 출마를 선언하는 등의 공개 행보는 자제하는 분위기다.
’문재인 체제’에서 첫 공식 시험대인 4·29 재·보궐선거가 임박한 상황에서 당내 선거에만 몰두해 당력을 분산시켰다는 비판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친분이 있는 의원들을 중심으로 따로 만나거나 전화를 돌리며 자신의 뜻을 알리고 의견을 경청하는 등 물밑 선거운동에 그치고 있다.
원내대표 경선이 4·29 재보선 후 2주 내에 치러진다는 점에서 재보선 결과도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문 대표가 예상보다 선전할 경우 상대적으로 친노에 가까운 후보들이 기세를 올릴 수 있는 반면, 참패할 경우엔 비노 진영 후보들의 ‘친노 견제론’이 먹힐 가능성이 커질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연합뉴스
내년 5월까지가 임기인 차기 원내대표는 20대 총선 공천에서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자리여서 어느 때보다 경쟁이 치열하게 전개되는 분위기다.
특히 당권이 친노로 넘어간 상황에서 최소한 원내대표라도 확보하지 못하면 공천을 보장받기 어려울 수 있다는 불안감이 비노 의원들 사이에 만연한 탓에 이번 원내대표 경선은 계파 대리전으로 비화할 가능성이 크다.
5월 둘째주로 예정된 경선이 한 달 이상 남았음에도 이미 선거전에 뛰어들었거나 자천타천으로 거론되는 후보만 최소 6명에 이르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29일 새정치연합 의원들의 말을 종합하면 4선의 이종걸 의원이 원내대표 3수를 사실상 공식화한 가운데 3선의 김동철 박기춘 설훈 조정식 최재성 의원이 경선 레이스에 사실상 발을 담갔다.
문재인 대표의 ‘복심’인 노영민 의원의 경우 일단 불출마 쪽으로 기울었으나 출마 가능성을 완전히 닫지는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노 의원까지 출마하면 모두 7명이 경쟁하게 된다.
이종걸 의원과 김동철 의원은 중도 성향의 비노 의원 그룹인 ‘민주당의 집권을 위한 모임’ 소속이고, 박 기춘 의원은 박지원계로 분류되면서 비노와도 가까운 편이다.
동교동계 출신인 설훈 의원은 민평련(고 김근태 의장 계보) 소속이며 조정식 의원은 손학규계, 최재성 의원은 정세균계로 각각 분류된다.
지역구로는 김 의원을 제외한 나머지가 전원 경기도 출신이라는 점이 눈에 띈다. 현 지도부에 경기 지역구 의원이 한 명도 포함돼 있지 않다는 사실과 무관치 않아 보인다. 내년 총선을 앞두고 수도권 원내대표가 유리할 것이라는 당내 정서도 감안된 것으로 관측된다.
당내 모든 계파가 거의 총출동한 가운데 노영민 의원이 불출마할 경우 무주공산이 되는 친노 표심을 획득하기 위한 후보들의 물밑 노력도 치열한 것으로 전해졌다.
해당 후보들은 사실상 경선 모드에 들어갔음에도 정식으로 출마를 선언하는 등의 공개 행보는 자제하는 분위기다.
’문재인 체제’에서 첫 공식 시험대인 4·29 재·보궐선거가 임박한 상황에서 당내 선거에만 몰두해 당력을 분산시켰다는 비판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친분이 있는 의원들을 중심으로 따로 만나거나 전화를 돌리며 자신의 뜻을 알리고 의견을 경청하는 등 물밑 선거운동에 그치고 있다.
원내대표 경선이 4·29 재보선 후 2주 내에 치러진다는 점에서 재보선 결과도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문 대표가 예상보다 선전할 경우 상대적으로 친노에 가까운 후보들이 기세를 올릴 수 있는 반면, 참패할 경우엔 비노 진영 후보들의 ‘친노 견제론’이 먹힐 가능성이 커질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