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22일 도쿄서 ‘日세계유산 등재’ 첫 공식협의

한일, 22일 도쿄서 ‘日세계유산 등재’ 첫 공식협의

입력 2015-05-08 19:55
수정 2015-05-08 19:5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정부 “강제징용 외면 역사왜곡…어떤 식으로든 반영돼야”

조선인 강제징용 현장이 포함된 일본 산업시설의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문제와 관련해 한일 간 양자협의가 22일 일본 도쿄에서 개최된다고 외교부가 8일 밝혔다.

이는 일본의 세계유산 등재 문제가 불거진 이후 한일 간 첫 공식협의다.

양국은 수석대표의 급을 비롯해 협의와 관련한 세부 사항을 조율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차관보 또는 국장급이 수석대표로 나설 것으로 알려졌다.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 산하 민간 자문기구인 국제기념물유적협의회(ICOMOS)는 최근 일본이 신청한 23개 근대산업시설에 대해 ‘등재 권고’ 결정을 내렸으며, 이를 바탕으로 6월28일~7월8일 독일 본에서 열리는 제39차 세계유산위원회에서 최종 등재 여부가 결정된다.

이들 23개 시설 가운데 7곳이 대일 항쟁기 조선인 강제징용의 한이 서린 시설이라는 점에서 우리 정부가 문제로 삼고 있다. 이들 시설에서 무려 5만7천900명의 한국인이 강제동원됐고 그중 94명이 강제동원 중에 사망했다.

특히 일본은 관련 시설의 등재 기간을 ‘1850년부터 1910년’으로 신청, 일제의 식민지배와 강제징용 논란을 피해가기 위한 꼼수를 동원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우리 정부는 “일본이 근대 산업시설을 세계유산으로 등재하려고 함에 있어서 강제징용은 외면한 채 단순히 산업혁명 시설로 미화하는 것은 또 하나의 역사왜곡이 될 수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정부는 해당 시설의 등재 자체를 막지 못하는 상황이 오더라도 어떤 식으로든 강제징용에 대한 우리의 정당한 요구가 어떤 식으로든 반영돼야 한다는 입장이다.

정부는 등재시 관련 보고서에 조선인 강제징용이 있었다는 사실을 포함하거나 관련 시설에 강제징용 기념비 설치 등 다각도의 대안을 마련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일본 정부 대변인인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관방장관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어디까지나 1850∼1910년 사이 산업혁명으로서 현저하고 보편적인 가치에 주목해 유산을 추천했고 이에 관해 ICOMOS가 (등재를) 권고했다”면서 “어디까지나 전문가 기관이 세계문화유산에 어울린다고 인정하고 권고한 것이므로 한국이 주장하는 것과 같은 정치적 주장을 가지고 들어올 일이 아니다”고 반박했다.

이에 따라 한일은 이번 양자협의를 비롯해 세계유산위원회의 최종 결정까지 치열한 외교전과 함께 기싸움을 벌일 것으로 보인다.

세계유산위원회는 우리나라와 일본을 포함해 총 21개국의 위원국으로 구성돼 있으며, 등재 결정은 위원국간 컨센서스를 원칙으로 하되 컨센서스가 형성되지 않으면 공개 또는 비공개 표결을 실시한다.

김용일 서울시의원, 북가좌동 골목 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 참석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회에서 의정활동하고 있는 김용일 의원(서대문구 제4선거구, 국민의힘)은 지난 7일 북가좌동 골목 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에 참석했다고 밝혔다. 이날 총회에는 서울신용보증재단 손명훈 서대문지점장, 박정수 회장 등 상인회 관계자, 정재원 동장 등이 함께했다. 이번 총회는 북가좌2동 먹자골목의 상인들이 힘을 모아 골목형상점가로 지정받기 위한 첫걸음이었다. 무더위와 휴가철로 인해 상인들의 참석이 저조하여 아쉬움이 있었지만, 상인들은 골목상권 활성화에 대한 강한 의지를 보였다. 골목상권 구획화 및 육성지원 사업은 정책 사각지대에 놓인 골목상권을 상권 단위로 체계적으로 구획화하고, 골목형상점가 지정을 통해 상권 활성화와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사업이다. 골목형 상점가란 ‘전통시장 및 상점가 육성을 위한 특별법’ 제2조제2호의2에 따라 소규모 점포들이 일정 구역에 밀집된 지역으로, 전통시장이나 일반 상점가로 지정되기 어려운 골목상권을 보호하고 지원하기 위해 도입된 제도로 2000㎡ 이내의 면적에 소상공인이 운영하는 점포가 30개 이상(서대문구는 25개) 밀집하여 있는 구역을 말한다. 골목형상점가 지정 시 온누리상품권 가맹점 가맹이나 정부 및 지자체
thumbnail - 김용일 서울시의원, 북가좌동 골목 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 참석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