野 “국민분열 조장 멈춰라”, 與 “불순한 의도 담긴 노래”
여야가 오는 18일 열리는 5·18 민주화운동 공식 기념행사에서 ‘임을 위한 행진곡’을 부르는 형식을 놓고 갈리는 목소리를 냈다.임을 위한 행진곡은 5·18 민주화운동 기념일이 정부 기념일로 제정된 1997년 이후 이명박 정부 첫 해인 2008년까지 기념식에서 제창 방식으로 불렀으나 일부 단체들의 문제 제기로 2009년부터는 합창 방식으로 불러왔다.
행사 주관인 국가보훈처는 임을 위한 행진곡이 “1991년 황석영, 리춘구가 공동 집필해 제작한 북한의 5·18 영화 ‘님을 위한 교향시’ 배경음악으로 사용된 노래”라며 제창할 경우 국민통합을 저해할 수 있다는 이유로 합창 방식을 유지하겠다는 뜻을 밝힌 바 있다.
이에 새정치민주연합 이종걸 원내대표는 15일 확대간부회의에서 “국회가 5·18 기념행사에서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을 결의하고 채택했는데도 보훈처가 가로막고 있다”며 “보훈처는 박근혜 정부 이래 민주주의의 정통성을 부정하고 국민을 분열시키는 갈등을 조장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원내대표는 “박근혜 대통령과 정부는 5·18 기념행사를 방해하고 국민분열을 조장하는 행위를 당장 멈춰야 한다”며 “’아리랑’이나 ‘우리 소원은 통일’이라는 노래가 북한 영화에 나오면 국민통합을 저해하고 부를 수 없는 금지곡이 되는 것인가”라고 되물었다.
김정현 수석부대변인도 논평에서 “기념행사를 둘로 쪼개놓은 박승춘 보훈처장관은 5·18 영령과 역사 앞에 석고대죄 해야 한다”며 “당장 해임건의안을 제출해야 마땅하지만 해임건의안 대상이 아닌만큼 보훈처장관을 유임시킨 대통령이 최종 책임을 져야한다”고 말했다.
반면 새누리당 김진태 의원은 보도자료에서 “북한에서 현재 부르고 있는지가 중요한 게 아니라 어떤 의도와 목적을 가지고 있느냐가 더 중요하다”며 “왜 이 노래를 영화 배경음악으로 넣었는지, 왜 지금 이 노래를 5.18 기념곡으로 지정하려고 애쓰는지 주목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 의원은 “작가 황석영이 김일성에게 하사받은 25만 달러로 이 노래를 편곡해 영화를 제작할 때는 반미 선동이 목적이었다”며 “80년대 군부독재에 맞서 민주화를 열망하며 부르던 그 노래와 지금 불순한 의도를 가진 이 노래는 다르다. 애국가도 기념곡으로 지정되지 않은 마당에 어불성설”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