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메르스특위, 삼성서울병원 감사원 감사 청구키로

국회메르스특위, 삼성서울병원 감사원 감사 청구키로

입력 2015-07-28 14:36
수정 2015-07-28 15:0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삼성병원 메르스 환자 조치, 정부대책 적정성 여부 감사 요구 복지부 복수차관제·질병관리본부 청 승격 등 대안도 제안

국회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대책 특별위원회는 28일 삼성서울병원에 대한 감사원의 감사를 청구하기로 의결했다.

이미지 확대
부분폐쇄 연장? 부분폐쇄 해제?
부분폐쇄 연장? 부분폐쇄 해제?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감염자 발생으로 부분 폐쇄된 서울 일원동 삼성서울병원에서 23일 오후 병원 관계자들이 출입자들의 체온을 점검하고 있다. 삼성서울병원은 24일까지 부분폐쇄 해제가 예정 돼 있지만 삼성서울병원과 관련된 메르스 환자가 계속 나오고 있어 부분폐쇄 해제에 대한 경례론도 적지 않은 상황이다. 이에 대해 방역당국은 ”결정된 바 없다”는 말과 함께 ’국민의 안전’을 기준으로 연장 여부를 판단하겠다고 입장을 밝혔다.
연합뉴스
메르스특위는 이날 마지막 전체회의를 열고 ‘감사원 감사요구 결의안’을 채택했다.

결의안에는 메르스 사태와 관련한 정부의 부실한 초동대응과 정보 비공개 결정 과정 등 메르스 사태 전반에 대한 원인을 규명하라는 내용이 담겼다.

또 삼성서울병원에서의 메르스 환자 조치와 이에 대한 정부 대책의 진상 확인 및 적정성 여부를 감사해 줄 것도 요구했다.

특위를 통과한 결의안은 새달 소집될 것으로 예상되는 임시국회 본회의에서 처리될 것으로 관측된다.

이와 함께 특위는 이날 ‘국가 감염병 관리체계 개선 촉구 결의안’도 의결했다.

결의안은 특위가 제시한 국가 감염병 관리체계 개선을 위한 정책제언의 내용을 정부에서 중장기적으로 성실하게 이행할 것을 촉구하는 내용이다.

여야 9명씩 총 18명의 의원들로 구성된 특위는 메르스 조기 종결과 감염병 관리대책 방안 마련 등을 목적으로 여야 지도부 간의 합의로 출범, 이날까지 약 2개월 동안 활동했다.

특위는 그동안 활동을 통해 ▲방역 당국의 미흡한 역학조사 및 부실한 초동대응 ▲국내 감염병 관련 의료 인프라의 부족 문제 ▲보호자 간병·대형병원 쏠림현상 등 국내 의료 전달체계 문제 등을 메르스 확산 사태의 주요 원인으로 꼽았다.

이와 함께 특위는 정부의 감염병 관련 역량 강화와 컨트롤타워 역할 정립, 보건복지부의 복수 차관제·질병관리본부의 청 승격, 신종 감염병에 대한 범정부적 방역관리 대응 매뉴얼 마련 등을 정책 대안으로 제시했다.

특위 위원장인 새누리당 신상진 의원은 “정부는 이번 메르스 사태에 대해 엄정한 평가를 바탕으로 국가 감염병 관리체계를 근본적으로 재정비해 향후 반복 발생할 수 있는 신종감염병 유행 가능성에 능동적으로 대처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