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무성, 오픈프라이머리를 ‘국민공천제’로 명명…”개혁 결정판” 전국에 현수막 내걸고 ‘대국민 홍보전’…여론잡기 나서
새누리당은 6일 내년 4월 제20대 총선에 적용할 공천 및 선거제도와 관련, 오픈프라이머리(완전국민경선제)와 권역별 비례대표제를 ‘빅딜’ 하자는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의 제안을 사실상 거부했다.새누리당은 지금까지의 입장대로 공천개혁을 역설하면서 오픈프라이머리 도입의 당위성을 강조하는 한편, 야당이 요구하는 권역별 비례대표제에 대해선 의원정수 증원 가능성 등 문제점을 내세워 ‘빅딜 불가’를 선언했다.
김무성 대표는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국민과 당원에게 공천권을 돌려 드리는 공천혁명은 정치개혁의 결정판”이라면서 “다른 제도와 맞바꿀 수 없는 성질의 것”이라고 말했다.
또 김 대표는 “권역별 비례대표제는 극심한 지역주의 구도의 해소를 위한 좋은 취지로 만들어졌지만 의석 수가 많이 늘 수밖에 없는 제도여서 실제 적용에 곤란하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오픈 프라이머리 대신 ‘국민 공천제’로 이름을 바꾸겠다고 밝혔다.
유력 정치인이나 특정 계파가 공천권을 빌미로 ‘줄세우기’를 강요했던 구태 정치를 혁파하겠다는 자신의 의지를 다시 한번 강조한 것이다.
전날에도 문 대표의 제안에 기자들과 만나 “수용하기 어렵다”고 밝혔지만 이날은 아예 “새누리당의 입장”을 전제로 수용 불가 의견을 공식 표명한 셈이다.
황진하 사무총장도 “국민 공천제에 대한 당의 강력한 실천의지를 알리고자 당원 및 대국민 홍보 활동을 더욱 적극 하겠다”면서 “정치 혁신의 꽃인 국민 공천제 실천을 통해 진정한 정치 개혁을 이뤄내고 국민의 기대에 부응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당은 오픈프라이머리의 당위성을 알리는 현수막을 이미 전국 240여개 당협위원회를 중심으로 걸도록 했으며, 온라인에서도 홍보 활동을 강화, 여론잡기에 나섰다.
오픈 프라이머리는 유권자가 참여하는 예비투표를 통해 후보자를 선출하는 것으로 후보자 공천과 관련된 제도이며, 권역별 비례대표제는 지역별 정당 득표율에 따라 비례대표 국회의원 의석을 배분하는 선거제도의 하나로 사표(死票) 방지 차원에서 거론되고 있다.
새누리당이 권역별 비례대표제 도입에 부정적인 것은 의원 정수 증가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는 점도 있지만 무엇보다도 실익이 없다는 정치적 셈법이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이전 선거에 비쳐볼 때 영남에서 야당이 지역에 따라 20∼40%의 정당득표율을 기록하면 비례대표 의원 가운데 상당수를 야당이 잠식하게 된다. 하지만 호남에서는 새누리당의 정당득표율이 두 자리수를 넘기 어려워 권역별 비례대표제가 도입돼도 당선 가능한 비례대표 의원은 아주 소수에 그쳐 여당에 불리하다는 게 여권 내 대체적인 견해다.
권성동 전략기획본부장은 보도자료에서 “문 대표는 새정치민주연합의 지난 2·8 전당대회에서 당 대표 경선에 나서며 오픈 프라이머리를 공약으로 내세웠다”면서 “이제 와서 오픈 프라이머리와 권역별 비례대표제의 빅딜을 주장한 것은 앞뒤가 맞지 않는다”고 비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