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승주 국방부 차관은 21일 북한의 전날 포격 도발에 대한 우리 군의 대응사격까지 걸린 시간은 71분이 아니라 49분으로 봐야 한다고 밝혔다.
백 차관은 이날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비(非) 경제 분야 정책질의 답변에서 새누리당 김용남 의원의 질의에 “(1차 포격을 했던 북한의 고사포가 아니라 2차 포격이었던) 직사포에 대응사격을 한 것으로 봐야 한다”며 “따라서 대응사격에 걸린 시간을 71분이라고 하는 건 적절치 않다”고 강조했다.
그는 “(오후) 3시53분에 (고사포의) 궤적이 나타나 확인하고 조사하는 과정에 다시 4시15분에 (직사포) 포성이 들리고 포연이 보였다”며 “거기에 대한 과학적 검증과 판단을 거쳐 대응사격을 (5시4분에) 한 것”이라고 말했다.
또 “(대포병레이더)아서-K 관측 장비로 14.5㎜ 고사포의 궤적을 관측하는 게 쉬운 것은 아니다”며 “아서-K로 감지하려면 (포탄이) 일정 고도로 올라가야 하는데, 단발로 끝난 고사포 궤도를 잡아 분석하는 데 시간이 좀 걸렸다”고 덧붙였다.
이어 백 차관은 이 같은 근거로 일각의 ‘늑장대응’ 지적을 반박하며 “국민은 현장 지휘관의 판단을 존중하고 신뢰해주기를 바란다”고 당부했다.
연합뉴스
백 차관은 이날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비(非) 경제 분야 정책질의 답변에서 새누리당 김용남 의원의 질의에 “(1차 포격을 했던 북한의 고사포가 아니라 2차 포격이었던) 직사포에 대응사격을 한 것으로 봐야 한다”며 “따라서 대응사격에 걸린 시간을 71분이라고 하는 건 적절치 않다”고 강조했다.
그는 “(오후) 3시53분에 (고사포의) 궤적이 나타나 확인하고 조사하는 과정에 다시 4시15분에 (직사포) 포성이 들리고 포연이 보였다”며 “거기에 대한 과학적 검증과 판단을 거쳐 대응사격을 (5시4분에) 한 것”이라고 말했다.
또 “(대포병레이더)아서-K 관측 장비로 14.5㎜ 고사포의 궤적을 관측하는 게 쉬운 것은 아니다”며 “아서-K로 감지하려면 (포탄이) 일정 고도로 올라가야 하는데, 단발로 끝난 고사포 궤도를 잡아 분석하는 데 시간이 좀 걸렸다”고 덧붙였다.
이어 백 차관은 이 같은 근거로 일각의 ‘늑장대응’ 지적을 반박하며 “국민은 현장 지휘관의 판단을 존중하고 신뢰해주기를 바란다”고 당부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