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6석 유지나 249석 확대 유력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산하 국회의원선거구획정위원회는 내년 4월 20대 총선의 지역선거구 숫자를 2일 오후 발표한다.획정위는 오후 2시부터 열리는 전체회의에서 앞서 발표한 국회의원 지역선거구 숫자 범위 ‘244~249개’ 가운데 단수안을 확정, 공개할 계획이다. 획정위는 지역선거구 수 확정에 이어 지역구별 평균 인구수와 인구 상·하한선을 산출, 지역구 구역 및 경계 조정 작업을 벌인 뒤 법정시한인 오는 13일까지 획정안을 국회에 제출할 예정이다.
획정위가 적극 검토 중인 안은 현행 246석을 유지하거나 범위 내 최대 수인 249석으로 확대하는 방안인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국회의원 정수가 300명인 만큼 이날 지역구 수가 결정되면 자연스럽게 비례대표 의원 수도 결정되게 된다.
획정위의 지역선거구 조정안은 현 19대 국회 지역구와 비교해 도시지역 선거구가 늘어나는 대신 경북, 전남·북, 강원 등 농어촌 지역 선거구는 크게 줄어들 전망이어서 이들 지역 의원들의 거센 반발이 예상된다. 헌법재판소가 제안한 인구편차 2대1 원칙 하에 지역구를 재편하면 인구가 적은 농어촌 지역이 최대 10석까지 사라진다.
농어촌에 지역구를 둔 ‘농·어촌 지방 주권지키기 모임’ 소속 여야 의원은 1일부터 국회 로텐더홀에서 선거구 통·폐합 반대 농성에 돌입했다. 이들은 1일 발표한 성명을 통해 △여야 대표의 조속한 지역대표성 확보 위한 원칙과 기준 합의 △‘농어촌·지방 특별선거구’ 설치 수용 △정치권의 원칙과 기준 합의 마련까지 선거구획정위의 획정 잠정 연기 등을 요구했다.
비례대표 의석 비율을 둘러싼 여야의 공방도 격화할 전망이다. 새누리당은 비례대표 수를 줄이고 지역구 수를 늘려 농어촌 지역구 감축을 최소화하자는 입장인 반면 새정치연합은 비례대표 수 축소에 강력 반발하고 있다.
한편 새누리당 김무성·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는 2일 오전 서울 용산구 백범기념관에서 열리는 제19회 노인의 날 기념식에 나란히 참석할 예정이어서 선거구 조정과 관련한 논의가 이어질지 주목된다.
두 대표의 회동은 추석 연휴 중인 지난달 28일 부산에서의 회동 이후 나흘 만으로, 당시 합의한 ‘안심번호 국민공천제’가 청와대 및 당내 비주류 측의 반발에 부닥친 상황이어서 이들이 어떤 타개책을 모색할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김 대표는 전날 “더 이상 이것(안심번호 국민공천제)을 가지고 공방을 벌일 생각이 전혀 없다”며 안심번호 국민공천제 추진 입장에서 한발 물러섰지만, 문 대표는 합의 이행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진경호 기자 jade@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