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산공개> ‘안철수 효과’로 국민의당 재산 평균 96억

<재산공개> ‘안철수 효과’로 국민의당 재산 평균 96억

입력 2016-03-25 09:40
수정 2016-03-25 09:4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새누리 37억·더민주 13억·정의당 4억원500억 이상 제외하면 새누리>국민의당>더민주

국회 공직자윤리위원회가 25일 공개한 2015년도 국회의원 재산변동 사항에 따르면 국민의당 의원들의 평균 재산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통적으로 새누리당에 재력가들이 많았지만, 국회의원 재산 순위 1위였던 정몽준 전 의원이 2014년 서울시장 선거에 나서며 의원직에서 물러나고, 정 전 의원 퇴장 이후 새롭게 재산 순위 1위로 등극한 안철수 의원(1천629억2천800만원)이 국민의당을 창당하면서 오히려 야당이 ‘부자 정당’이 된 모양새다.

지난해 12월 31일 기준 정당별 소속 의원들의 평균 재산은 국민의당이 96억100만원으로 새누리당(37억2천400만원)과 더불어민주당(13억3천200만원), 정의당(4억4천300만원)을 크게 앞섰다.

국민의당은 안철수 의원을 제외해도 평균 재산이 19억3천500만원으로 다른 야당보다 많았다. 더민주에서 부호로 꼽히던 장병완(82억5천만원), 김한길(46억5천100만원), 주승용(45억2천100만원) 의원 등이 국민의당에 합류하면서다.

반면 더민주는 안 의원의 탈당으로 500억원 이상 자산가가 한 명도 없으며 평균 재산도 전년도의 19억2천600만원에서 30.8% 줄었다.

새누리당은 평균 재산이 전년도 36억7천700만원보다 4천700만원 늘었다. 새누리당은 500억원 이상 자산가인 김세연(1550억9천500만원)과 박덕흠(539억4천300만원) 의원을 제외하더라도 평균 재산이 23억1천400만원으로 다른 정당보다 많았다.

새누리당 소속이었던 정의화 국회의장(116억5천300만원)이 무소속으로 편입되고 공천에서 탈락한 윤상현 의원(171억5천900만원) 등이 새누리당에서 탈당하면서 무소속 의원들의 평균 재산은 34억9천300만원으로 집계됐다.

정의당 의원들의 평균 재산도 전년도 4억2천200만원 보다 2천100만원 증가했다.

새누리당과 더민주, 국민의당 모두 부의 원천은 부동산이었다.

새누리당 의원들은 평균 5억3천800만원의 토지와 15억2천800만원의 건물, 8억3천500만원의 예금을 보유했다.

더민주 의원들은 평균 1억4천200만원의 토지와 8억2천만원의 건물, 5억2천500만원의 예금을 가진 것으로 집계됐다.

국민의당 의원들의 재산 구성은 토지 1억7천700만원, 건물 15억9천600만원, 예금 12억2천300만원 등이었다.

정지웅 서울시의원 “북아현 3구역의 원활한 추진 위해 건축심의부터 다시 받아야”

서울시의회 정지웅 의원(서대문구1·국민의힘)이 북아현 3구역 재개발 사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 관련법에 따라 건축심의부터 다시 준비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는 북아현 3구역 재개발에 대한 건축심의 효력이 상실됐기 때문이다. 건축법 제11조 제10항에 따르면 건축심의 결과를 통지받은 날부터 2년 이내에 건축허가를 신청하지 않으면 건축심의는 효력을 상실한다. 조합은 2023년 7월 11일 건축심의 완료를 통지받았다. 조합은 건축심의 완료 이후인 2023년 11월 30일 서대문구에 사업시행계획 변경인가를 신청했으나, 서대문구는 올해 5월 20일 조합에 이를 반려 통보했다. 서대문구는 사업시행계획서에 기재된 사업 기간이 총회 결의와 상이한 점을 문제로 봤다. 조합은 사업시행계획 변경인가가 반려되자 건축심의 유효기간 등 법적 검토를 하지 않고 서울시 행정심판위원회에 행정심판을 제기했다. 서대문구청의 반려 결정을 취소하고 인가 처분을 해달라는 취지였다. 그러나 서울시 행정심판위원회는 최종적으로 서대문구의 반려 처분이 정당하다고 판단했다. 정비 업계에 따르면 조합 측은 사업시행계획 변경인가를 다시 신청할 계획이다. 하지만 정 의원은 현행법상 북아현 3구역 재개발의 건축
thumbnail - 정지웅 서울시의원 “북아현 3구역의 원활한 추진 위해 건축심의부터 다시 받아야”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