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지막 투표함 열리며 부평갑 승자 뒤바뀌어…간발 26표차

마지막 투표함 열리며 부평갑 승자 뒤바뀌어…간발 26표차

입력 2016-04-14 06:59
수정 2016-04-14 06:5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문병호 35표차로 이기는 듯하다 결국 간발의 차로 역전당해

김종민도 與 거물 이인제 개표 막판에 역전 드라마
접전지 많아 새벽까지도 당선 확정짓지 못한 곳 속출

4·13 총선에서는 수도권 지역을 중심으로 자정을 넘어 14일 새벽 마지막 투표함이 열릴 때까지도 승패 윤곽이 드러나지 않은 피 말리는 싸움이 곳곳에서 벌어졌다.

특히 3당 구도로 선거를 치른 일부 지역에서는 개표 중반부에 접어든 시점에도 1위 후보와 2위 후보의 득표율 차이가 1% 이내에 머물러 손에 땀을 쥐게 했다.

가장 치열하게 경합을 벌인 지역은 인천 부평갑. 14일 오전 6시까지 개표가 99.98% 진행됐으나 한 치 앞을 내다볼 수 없을 만큼 치열한 순간의 연속이었다.

이 시각까지 새누리당 정유섭 후보의 득표율은 34.24%, 국민의당 문병호 후보의 득표율은 34.22%로 집계됐다. 득표수로 따지면 26표 차다.

거의 마지막 투표함이 열리며 이렇게 득표차이가 결정나면서 정 후보가 당선인으로 결정됐다.

이들 투표함이 열리기 전까지만 해도 ‘승리의 여신’이 문 후보를 향해 웃음 짓는듯 햇다.

오전 5시만 해도 문 후보의 득표율이 34.24%로 35표차로 1위를 달리고 있었기 때문이다. 결국 마지막 투표함 속에 정 후보를 찍은 표가 그 차이를 뒤집을 만큼 쏟아지면서 순위가 뒤바뀌었다.

결국 더민주 이성만 후보가 26.7%의 득표율을 기록한 만큼 야권 후보 분열이 새누리에 승리를 안겨준 셈이다.

인천 연수갑에서는 더민주 박찬대(40.6%) 당선인과 새누리당 정승연(40.3%) 후보의 득표수 차이가 214표로 박빙 승부가 펼쳐졌다.

중·동·강화·옹진에서 맞붙은 무소속 안상수(31.9%) 당선인과 새누리당 배준영(30.6%) 후보의 차이도 크지 않다. 1천662표 차이로 승부가 갈렸다.

경기 안산상록을에서는 더민주 김철민(34.0%) 당선인과 국민의당 김영환(33.5%) 후보의 표차는 399표로 간발의 차였다.

경기 군포갑에서는 더민주 김정우(38.5%) 당선인과 새누리당 심규철(37.4%) 후보의 득표수 차이는 726표였다. 이 지역에서 국민의당 이환봉(21.4%) 후보가 적지 않은 표를 가져갔다.

서울에서는 관악갑과 중·성동을에서 자정을 훌쩍 넘긴 시간까지 긴장감이 이어졌다.

관악갑에서는 국민의당 김성식 후보가 38.4%의 득표율로 더민주 유기홍(37.6%) 후보를 근소한 차이로 제쳤다.

중·성동을에서는 일여다야(一與多野) 구도에서 새누리당이 덕을 봤다. 새누리당 지상욱 당선인의 득표율은 38.0%로 2등 국민의당 정호준 후보(36.3%)보다 1.7%포인트 높다. 더민주 이지수 후보의 득표율은 24.3%였다.

역대 선거에서 어디로 튈지 몰라 ‘캐스팅보트’ 역할을 해 온 충남과 충북에서도 1곳씩 아슬아슬한 줄다리기가 계속됐다.

충남 논산에서는 개표율이 85%일 때만 해도 새누리당 이인제 후보가 근소한 차이로 앞섰으나, 개표율이 90%를 넘어서자 더민주 김종민 당선인이 뒤집기에 성공했다. 최종 개표 결과 김 당선인은 43.6%, 이 후보는 42.6%의 득표율을 기록했다.

충북 청주서원에서도 개표율 90% 기준일 때 새누리당 최현호 후보가 1위로 예측됐으나, 개표가 완전히 끝나자 더민주 오제세 당선인이 43.5% 득표율로 승기를 거머쥐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