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측, 무대응 속 불쾌함 못 감춰
더불어민주당 김종인 전 비상대책위 대표가 당내 유력 대선주자인 문재인 전 대표의 ‘공정성장론’을 연일 비판하고 나섰다. 김 전 대표는 12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공정성장론’을 겨냥, “말장난 같은 성장변형론들이 나오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미 글로벌 경제는 양극화와 전반적 성장정체 현상을 보이며 새로운 패러다임을 요구하고 있다”면서 “언어유희로 문제의 본질을 가려서는 안 될 것”이라고 말했다.김 전 대표는 또 올해 노벨경제학상을 수상한 올리버 하트, 벵트 홀름스트룀 두 교수의 ‘계약이론’을 언급하며 “정보 비대칭성을 보정하려는 연구이기에 우리 경제 현실을 되돌아보게 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결국 계약이론은 경제민주화가 한국경제 전체의 기반의식구조 변화를 위해 불가피하다는 점을 지적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김 전 대표는 지난 6일에도 문 전 대표를 향해 “말은 거창하게 성장과 경제민주화를 동시에 추구한다고 얘기하지만 경제민주화에 대한 이해가 잘못됐다”고 지적했다. 당 안팎에선 ‘문재인 대세론’에 부정적인 김 전 대표가 자신의 전문 분야인 경제를 내세워 ‘문재인 흔들기’에 나섰다는 평가가 나온다.
한편 문 전 대표 측은 김 전 대표의 잇단 공격에 공식적으로는 ‘무대응’ 방침을 세우면서도, 불쾌함을 감추지 못하는 분위기다. 문 전 대표의 싱크탱크 부소장을 맡은 조대엽 고려대 노동대학원장은 “비판도 애정을 갖고 해야 하는데 김 전 대표는 비난에 가까운 말씀을 하신다”면서 “납득하기 어려운 방식으로 감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장진복 기자 viviana49@seoul.co.kr
2016-10-13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