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반득표 대통령이냐, 87년같은 37% 득표 대통령이냐

과반득표 대통령이냐, 87년같은 37% 득표 대통령이냐

입력 2016-12-25 10:17
수정 2016-12-25 10:1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조기대선에 多者구도로 갈 경우 ‘최저득표 대통령’ 탄생 관측도

내년에 치러질 제19대 대통령 선거는 여러 면에서 ‘기록’을 남길 것으로 전망된다.

일단 대선 시기다. 제13대 대선이 치러졌던 1987년 12월 이후 30년 만에 ‘겨울 대선’이 사라질 가능성이 커졌다.

박근혜 대통령 탄핵이 헌법재판소에서 인용되면 그 즉시 60일 안에 차기 대선이 치러진다.

일각의 관측대로 내년 3월까지 헌재의 심리가 마무리되면 5월 전에, 헌재가 심리 기한인 6개월을 꽉 채워도 8월에는 대선이 실시된다.

물론 헌재가 탄핵을 기각할 경우 박 대통령은 임기를 채우고 예년처럼 12월 대선이 치러질 가능성도 완전히 배제할 수 없다.

그러나 선거공학 측면에서 보다 주목할 대목은 조기 대선 여부에 따라 대선 대결구도가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이다. 대선시기가 당겨질수록 후보 단일화 등을 위한 시간이 촉박해 여러 후보의 이름이 투표용지에 인쇄될 수 있다.

일단 야권은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당에서 각각 1명의 대선 후보를 낼 것으로 관측된다.

민주당은 문재인 전 대표가 선두를 달리는 가운데 이재명 성남시장, 박원순 서울시장, 안희정 충청남도지사 등이 추격하는 형국이다.

국민의당은 안철수 전 대표가 “이번에는 절대 양보할 수 없다”며 대선 완주 의사를 굳힌 상태다.

현 여권인 보수 진영도 복잡하다. 개혁보수신당(가칭)에 참여할 새누리당 의원들이 오는 27일 집단 탈당해 창당할 경우 보수 진영은 사상 처음으로 분열된다.

보수신당은 비록 야권 후보들에 견줘 지지율은 낮지만 유승민 의원, 남경필 경기도지사, 오세훈 전 서울시장 등 나름대로 대권 주자가 즐비하다.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은 내년 1월 귀국하면 대권 행보를 본격화한다. 반 총장은 문 전 대표와 함께 각종 여론조사에서 지지율 선두권이다.

여권에선 반 총장이 대선에 뛰어들더라도 당장 특정 정당에 몸담기보다는 외곽에 머무르면서 판세를 읽지 않겠느냐는 예측이 많다.

여권 관계자는 25일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반 총장 스스로 당을 만들지 않더라도 결국 현역 국회의원들의 조직적 득표력이 절실해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일각에선 새누리당 중도파와 충청권 의원을 중심으로 ‘해체 수준’의 재창당을 이루고, 이후 반 총장을 영입해 후보로 내세우는 전략이 거론된다.

이렇게 되면 문 전 대표를 비롯한 민주당 후보와 안 전 대표, 보수신당 후보와 반 총장이 경쟁하는 4자 구도가 만들어진다.

민주화 직후 1987년 치러진 대선은 4자 대결 구도였다. 당시 야권의 후보 단일화가 실패, 민주정의당 노태우 후보(36.64%)가 통일민주당 김영삼 후보(28.03%)와 평화민주당 김대중 후보(27.04%), 신민주공화당 김종필 후보(8.06%)를 눌렀다.

1992년 대선은 3자 구도였다. 민주자유당 김영삼 후보(41.96%)가 민주당 김대중 후보(33.82%)와 통일국민당 정주영 후보(16.31%)를 제쳤다.

1997년은 새정치국민회의 김대중 후보(40.27%)가 한나라당 이회창 후보(38.74%)와 국민신당 이인제 후보(19.2%)를 누르고 당선됐다.

2002년 새천년민주당 노무현 후보(48.91%)가 한나라당 이회창 후보(46.58%)를, 2012년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51.55%)가 민주통합당 문재인 후보(48.02%)를 이겼다. 1·2위 후보 격차가 가장 컸던 대선은 2007년으로, 당시 한나라당 이명박 후보(48.67%)가 대통합민주신당 정동영 후보(26.14%)를 여유롭게 따돌렸다.

내년 대선에서 4자 구도가 형성되면 박 대통령이 유일하게 기록한 50% 이상 득표율은 물론 40% 안팎의 득표율도 당선인이 장담하기 어렵다. 2012년 대선과 같은 50% 이상 당선인 모델보다는 ‘1노(盧) 3김(金)’ 4자 대결 선거때 노태우 후보가 36.64%로 당선됐던 87년 대선 득표율 모형에 가까울 수 있다는 관측도 있다. 절반에도 훨씬 못미치는 득표율로 당선됐던 노태우 대통령은 이듬해 88년 총선에서 여소야대 국회가 형성되자 결국 인위적인 3당 합당 정계개편을 통해 통치기반을 확보한다.

다만 역대 대선처럼 투표일이 가까워질수록 후보 간 연대나 단일화가 극적으로 이뤄져 진보·보수 진영의 양자 대결로 좁혀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특히 ‘최순실 게이트’로 정치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이념적 대립이 극명해진 상황에서 양자 구도로 대선이 치러질 경우 뜻밖의 압도적 득표율도 나올 수 있다.

민병주 서울시의원, 조합설립 동의율 75% 완화로 소규모 정비사업 속도 낸다

조합설립 동의율 완화(재개발 75%, 재건축 70%)로 소규모 정비사업 추진이 빨라지고, 정부의 도심 공공주택 복합사업 기준 완화로 무주택 실수요자에게 주거 기회가 확대될 전망이다. 서울시의회 도시계획균형위원회 민병주 의원(국민의힘·중랑4)은 지난 8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위원회를 통과한 ‘빈집 및 소규모주택 정비에 관한 특례법’(빈집법) 개정안과 관련해 “그동안 지연되던 소규모 정비사업에 속도를 낼 수 있는 중요한 계기”라며 환영의 뜻을 밝혔다. 이번 개정안은 서울시 모아주택이나 가로주택 정비사업에 해당하는 소규모 재개발의 조합설립 동의율을 기존 80%에서 75%로, 소규모 재건축의 경우 75%에서 70%로 낮추는 내용을 포함했다. 또한 서울시 다세대·연립주택의 베란다 샷시, 주차장 캐노피, 차양 등 소규모 위반 건축물에 부과되는 이행강제금을 감경하는 규정도 담고 있다. 이에 따라 사업 추진에 필요한 동의자 수가 줄어들어 절차가 신속해지고, 장기 표류하던 구역의 사업 정상화0가 기대된다. 민 의원은 “동의율 완화는 주민 갈등을 줄이고, 사업비 부담을 낮추는 효과가 있다”며 “서울시 역시 소규모 정비 활성화를 위한 지원방안을 병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thumbnail - 민병주 서울시의원, 조합설립 동의율 75% 완화로 소규모 정비사업 속도 낸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