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철 “계파패권주의黨과 통합 없다” 야권 대선주자들 찬반 논쟁 더 커질 듯
최근 여권의 유력 대선주자인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의 움직임이 빨라지자 야권에서 정권교체를 위한 ‘야권통합론’이 전면에 등장했다. 그러자 국민의당이 야권통합론을 일축하며 견제에 들어갔다.국민의당 김동철 비상대책위원장은 30일 국회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국회의원 연석회의에서 “국민의당은 계파패권주의 정당과의 통합이란 결코 있을 수 없다”면서 “더불어민주당이 계파패권주의의 철옹성에 갇혀 지난 두 번의 대선에서 패배해 보수정권 10년 동안 나라를 결딴나게 만들고 결과적으로 야권 분열을 초래한 과거에 대해 통렬하게 반성하고 사과부터 하는 게 순서”라고 비판했다.
이는 전날 민주당 우상호 원내대표가 “지금처럼 야권이 분열돼 있는 상황에서는 (대선) 승리의 전망이 낮다”면서 “내년에는 반드시 야권통합이 이뤄져서 김근태 의장의 소망을 달성하는 결실이 있기를 바란다”고 말하며 야권통합론을 꺼낸 데 대한 견제다. 국민의당으로서는 친박(친박근혜)계와 친문(친문재인)계를 뺀 제3지대에서 정권교체를 이뤄내겠다는 전략이라 야권통합론이 달갑진 않다.
그러나 야권 대선주자들 사이에서 야권통합론에 대한 언급이 점차 나오면서 야권통합론을 놓고 찬반 논쟁이 거셀 전망이다. 민주당 문재인 전 대표는 지난 29일 “좀더 대선이 임박해지면 그때는 정권교체라는 대의를 위해 야권 전체가 함께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진아 기자 jin@seoul.co.kr
2016-12-31 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