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도에 태극기·성조기 물결’…역대 美대통령 국빈방한 어땠나

‘연도에 태극기·성조기 물결’…역대 美대통령 국빈방한 어땠나

입력 2017-10-17 12:35
수정 2017-10-17 12:3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92년 조지 H.W. 부시 전 대통령 이후 25년만…총 6차례 국빈 방한시간 지날수록 국빈 예우도 간소화 경향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내달 초 방한이 의전상 최고의 예우가 수반되는 ‘국빈방문’ 형식으로 이뤄지면서 역대 미국 대통령의 국빈 방한 사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다음 달 아시아 순방 기간 한국과 중국을 국빈방문한다. 방한에 앞선 일본 방문은 공식방문인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대통령의 국빈방문 형식 방한은 1992년 ‘아버지 부시’인 조지 H.W. 부시 전 대통령 이후 25년 만이다.

그해 1월 5일 서울공항에 부시 전 대통령이 도착하자 정원식 국무총리가 맞이했고 21발의 예포가 발사됐다.

다음날 공식 환영행사가 예정돼 있어서 공항 환영행사는 최소화해 7분 만에 끝났고 부시 전 대통령 내외는 동작동 국립묘지를 참배한 뒤 숙소인 미 대사관저에 여장을 풀었다.

노태우 전 대통령과 한 시간 동안 테니스를 즐긴 부시 전 대통령은 이튿날 국회 연설과 정상회담, 공식 만찬 등의 빡빡한 일정을 소화했다.

국빈만찬에서는 부채춤, 가야금합주, 타악기합주와 같은 공연이 함께 열리기도 했다.

청와대는 부시 전 대통령이 다음 날 아시아 순방 마지막 나라인 일본으로 떠날 때도 정원식 국무총리와 이상옥 외무장관, 한봉수 상공장관, 이해원 서울시장이 출국인사를 나오는 등 국빈에 대한 예우를 다 했다.

최초로 한국을 국빈방문한 미국 대통령은 1960년 9월 방한한 드와이트 아이젠하워 전 대통령이었다.

미국 대통령의 사상 첫 국빈 방문답게 당시는 온 나라가 아이젠하워 전 대통령의 방한을 환영하는 분위기였다.

김포공항에서 숙소인 미국 대사관저에 이르는 거리에는 환영 인파가 가득했고 한 신문은 1면 상단에 ‘WELCOME IKE! 어서오십시오 아이크(아이젠하워 전 대통령의 애칭)’라고 제목을 달아 기사를 싣기도 했다.

이후 국빈 방문한 미국 대통령을 맞이하는 분위기도 환영 일색이었다.

1966년 10월 마지막날 김포공항에 내린 린든 존슨 전 대통령은 트랩에서 내려오자마자 박정희 전 대통령 부부로부터 직접 인사를 받았다. 시내로 이동하는 연도에는 태극기와 성조기를 흔드는 시민들이 가득 찼다고 당시 언론은 전한다.

박 전 대통령은 1974년 11월에 국빈 방한한 제럴드 포드 전 대통령이 김포공항에 내렸을 때도 정부 요인과 직접 공항에 나가 맞이했다.

1979년 6월 지미 카터 전 대통령이 방문할 때만 해도 이런 풍경은 크게 다르지 않았다.

1983년 11월 로널드 레이건 전 대통령의 방한 때도 전두환 정부는 성대한 환영행사를 준비했지만 미국 측이 레이건 전 대통령의 피로를 이유로 축소를 요청하는 등 달라진 분위기가 감지됐다.

미국 대통령의 국빈방문이 25년 만에 이뤄진 것은 92년 조지 H.W. 부시 전 대통령 방한 후 외국 정상의 국빈방문을 제한하는 등 정부가 의전절차 간소화를 추진한 것도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

김영삼 전 대통령은 1993년 6월 예산 절감 등을 목적으로 외국 정상의 국빈방문과 공식방문을 연간 6회로 제한하고 그 외의 초청 정상외교는 모두 실무 공식방문으로 처리하기로 했다.

빌 클린턴 전 대통령이 그해 처음으로 방한할 때 우리 정부는 미국에 국빈방문이 아닌 공식실무 방문을 제안했다.

김영철 서울시의원 “성내초 증축·동북중·고 교육여건 개선 시급”

서울시의회 주택공간위원회 김영철 의원(국민의힘, 강동5)은 지난 18일 개최된 서울시교육청-국민의힘 정책협의회에서 AIDT(교육자료) 전환 대책, 노후 교사동 안전관리, 학교업무 경감 방안과 함께 성내초등학교 증축 및 환경개선, 동북중·동북고 교육여건 개선 등 지역 현안을 중점적으로 다뤘다. AIDT 전환, 학생 학습권 보호가 최우선 김 의원은 초·중등교육법 개정으로 AIDT의 법적 지위가 ‘교과서’에서 ‘교육자료’로 전환된 상황과 관련해 “학교 현장에서 혼란이 발생하지 않도록 신속한 후속 조치와 재정 지원이 필요하다”며 “특히 학생 학습권이 흔들리지 않도록 교육청이 적극적으로 역할을 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노후 교사동 안전, 사전 예방 관리체계 강화해야 이어 김 의원은 노후 교사동 안전관리 종합대책과 관련해 “이미 서울의 35%가 40년 이상 노후 건축물인데, 학생 안전은 결코 미룰 수 없는 과제”라며 “C등급을 세분화하고 IoT 기반 실시간 감시체계를 도입하는 등 선제적 관리로 개학 연기 같은 사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성내초 증축·급식환경 개선, 학생 건강권 보장해야 특히 김 의원은 강동구 성내초등학교 증축안과
thumbnail - 김영철 서울시의원 “성내초 증축·동북중·고 교육여건 개선 시급”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