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7일 오후 대구 달서구의 한 유니클로 매장 앞에서 지역 주민들이 일본 기업 불매운동 릴레이 1인 시위에 참여하고 있다. 2019.7.7 뉴스1
한국갤럽이 지난 23∼25일 전국 19세 이상 성인 1006명을 대상으로 조사(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 ±3.1%포인트)한 결과, 최근 한일 간 분쟁으로 일본산 제품을 사는 것이 ‘꺼려진다’고 응답한 비율이 80%에 이르렀다. 반면 ‘꺼려지지 않는다’고 응답한 비율은 15%, 유보적 의견은 5%로 집계됐다.
한국갤럽은 “스스로 일본산 불매 운동에 나선 적극적 참여자뿐 아니라 주위 시선을 의식해 구매를 꺼리는 소극적 참여자까지 포함된 것”이라고 분석했다. 지역과 연령, 성별, 정치 성향 등을 가리지 않고 모든 응답층에서 일본산 구매에 대한 거부감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또 정부의 한일 분쟁 대응과 관련해 ‘잘 대응하고 있다’는 응답은 50%로, ‘잘못 대응하고 있다’는 응답(35%)보다 높았다. ‘잘 대응하고 있다’는 응답은 30대와 40대에서 60%를 상회했고 진보층에서도 77%로 많았다. ‘잘못 대응하고 있다’는 응답은 60대 이상에서 51%, 보수층에서 69%로 우세했다. 중도층에서는 ‘잘 대응하고 있다’가 48%, ‘잘못 대응하고 있다’가 40%였다.
이번 한일 분쟁으로 어느 나라의 피해가 클 것인지를 물었을 때는 ‘한국’을 꼽은 응답자가 54%로, ‘일본’을 꼽은 응답자(27%)보다 많았다. ‘한국과 일본의 피해가 비슷할 것’이라고 본 응답자는 11%였고, 8%는 의견을 유보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