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의원들의 충돌로 국회 대정부 질문이 정회하는 상황이 일어났다.
5일 국회 비경제분야 대정부질문은 세 번째로 질의한 국민의당 김동철 의원과 이은재, 이장우 등 새누리당 의원들 사이에 고성과 삿대질이 오가는 등 파행을 계속하다 정회해 약 3시간 만에 속개했다.
이날 김 의원이 지역 편중 인사를 문제 삼으며 황교안 국무총리에게 호통을 치자 여당 의원들은 의석에 앉아 야유를 보냈다. 이에 김 의원이 여당 의원들을 향해 “질문하는 데 간섭하지 말라”고 요구하는 과정에서 양측에 반말과 고성이 오갔다.
그러던 중 김 의원은 이장우 의원을 향해 “대전 시민은 어떻게 저런 사람을 국회의원으로 뽑아 놨느냐”고 말했고, “저질 국회의원들”이라는 표현으로 새누리당 의원들을 자극했다. 삿대질과 고성은 정세균 국회의장을 대신해 의장석을 지키던 박주선 국회부의장의 자제 요청에도 멈추지 않았다. 이에 박 부의장은 3당 원내수석부대표를 불러 중재를 시도했지만 각 당은 서로의 사과 없이는 대정부질의를 진행하지 않겠다고 거절했다. 결국 원내대표들이 만나 본회의를 정회하기로 합의했다.
새누리당 정진석, 더불어민주당 우상호 원내대표와 국민의당 박지원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는 이후 회동을 갖고 김 의원이 질의석에서 유감 표명을 하고 질의를 속개하기로 합의했다. 김 의원은 오후 속개된 대정부질의에 앞서 “나로 인해 (본회의가) 정회된 것과 대전시민을 거론하는 등 부적절한 표현에 대해 유감을 표현한다”면서도 “(질의 내용이) 아무리 귀에 거슬려도 야유로 방해돼선 안 된다고 생각하고 오늘로서 잘못된 관행이 해소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김민석 기자 shiho@seoul.co.kr
김진아 기자 jin@seoul.co.kr
5일 국회 비경제분야 대정부질문은 세 번째로 질의한 국민의당 김동철 의원과 이은재, 이장우 등 새누리당 의원들 사이에 고성과 삿대질이 오가는 등 파행을 계속하다 정회해 약 3시간 만에 속개했다.
이날 김 의원이 지역 편중 인사를 문제 삼으며 황교안 국무총리에게 호통을 치자 여당 의원들은 의석에 앉아 야유를 보냈다. 이에 김 의원이 여당 의원들을 향해 “질문하는 데 간섭하지 말라”고 요구하는 과정에서 양측에 반말과 고성이 오갔다.
그러던 중 김 의원은 이장우 의원을 향해 “대전 시민은 어떻게 저런 사람을 국회의원으로 뽑아 놨느냐”고 말했고, “저질 국회의원들”이라는 표현으로 새누리당 의원들을 자극했다. 삿대질과 고성은 정세균 국회의장을 대신해 의장석을 지키던 박주선 국회부의장의 자제 요청에도 멈추지 않았다. 이에 박 부의장은 3당 원내수석부대표를 불러 중재를 시도했지만 각 당은 서로의 사과 없이는 대정부질의를 진행하지 않겠다고 거절했다. 결국 원내대표들이 만나 본회의를 정회하기로 합의했다.
새누리당 정진석, 더불어민주당 우상호 원내대표와 국민의당 박지원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는 이후 회동을 갖고 김 의원이 질의석에서 유감 표명을 하고 질의를 속개하기로 합의했다. 김 의원은 오후 속개된 대정부질의에 앞서 “나로 인해 (본회의가) 정회된 것과 대전시민을 거론하는 등 부적절한 표현에 대해 유감을 표현한다”면서도 “(질의 내용이) 아무리 귀에 거슬려도 야유로 방해돼선 안 된다고 생각하고 오늘로서 잘못된 관행이 해소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김민석 기자 shiho@seoul.co.kr
김진아 기자 jin@seoul.co.kr
2016-07-06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