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라디오서 사과…“훨씬 싼 아파트 살아”
“‘15억 미만’ 규제 안했는데 野 선동”
질의하는 복기왕 의원
21일 대전 국가철도공단 본사에서 열린 국회 국토교통위원회의 한국철도공사(코레일)·국가철도공단·에스알(SR)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더불어민주당 복기왕 의원이 질의하고 있다. 2025.10.21 연합뉴스
지난 23일 라디오 방송에 출연해 “평균 15억원 정도의 아파트는 서민용”이라는 발언으로 뭇매를 맞은 복기왕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해당 발언에 대해 재차 사과했다.
그럼에도 부동산 정책을 주무르는 고위공직자들이 강남의 고가 아파트에 거주한다는 점에 대한 비판에는 “강남에 살면 부동산 정책을 하면 안 된다는 건 억지”라고 반박했다.
민주당 주택시장 안정화 태스크포스(TF)에 속해있는 복 의원은 24일 SBS 라디오 ‘김태현의 정치쇼’에 출연해 “15억원은 서울 아파트 평균가이며, ‘서민’이라는 표현은 보다 일반적인 의미라는 점에서 짧은 시간에 그런 단어를 선택한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복 의원은 “15억 미만 아파트에 대해서는 지난 6·27 대책 이후 전혀 손본 게 없다. 국민들도 그 점에 대해서는 인정해주셨다”면서 “그런데도 국민의힘은 ‘주거 사다리를 걷어찼다’, ‘청년과 신혼부부에 대한 대출을 옥죄었다’는 거짓말로 선동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15억 미만 아파트에 사는 사람이 서민이 아닌 부자라면, 그 부자들까지도 주거 사다리를 유지할 수 있게 정책을 놔둔 것”이라며 “공격은 앞뒤가 맞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다만 “15억 아파트는 서민용”이라는 발언에 대해서는 “공인이기 때문에 단어 선택에 주의하겠다는 사과의 말씀을 거듭 드린다”고 고개를 숙였다. 또 “내가 사는 지역에도 15억짜리 아파트는 없다. 나도 훨씬 싼 아파트에 산다”고 부연했다.
부동산 정책 정상화 특위 위원장 맡은 장동혁 대표
국민의힘 부동산 정책 정상화 특별위원회 위원장을 맡은 장동혁 대표가 22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특위 첫 회의에서 이재명 정부의 부동산 정책을 비판하고 있다. 2025.10.22 연합뉴스
복 의원은 또 국민의힘이 “나는 되고 너는 안 된다”는 구호를 내건 채 부동산으로 부를 축적한 정치권과 고위공직자들이 정작 젊은 세대의 욕망 실현을 막고 있다고 지적하는 것에 대해서는 “억지”라고 일축했다.
복 의원은 “(부동산 투기가) 문제가 안 됐던 시절에 그쪽(강남)에 주택을 갖고 있던 분도 계시고, ‘강남좌파’라는 말이 있듯 강남3구에 살 만한 경제력을 갖추고도 진보적인 사고를 갖고 있는 분들이 있다”면서 “강남에 집이 있다고 해서 진보적인 주거정책을 이야기하면 안 된다는 건 억지”라고 반박했다.
이어 “‘서울대 10개’를 주장하는 사람들이 서울대를 나왔다면 그런 주장을 해선 안 되는가”라고 반문했다.
또 국민의힘이 고위공직자들의 ‘갭투자’를 지적하는 것에 대해서도 “단골소재”라며 “국회의원들의 재산을 살펴보면 다주택자나 강남3구 거주자는 국민의힘에서 더 많다”고 반박했다.
앞서 복 의원은 전날 YTN 라디오에 출연해 “전국 평균치, 15억 정도 아파트면 서민이 사는 아파트라는 인식들이 좀 있다”면서 “15억 아파트와 청년, 신혼부부 이런 부분에 대한 정책은 건드리지 않았다”고 말했다.
이같은 발언에 대해 “부동산에 대한 인식이 서민층과 지나치게 괴리됐다”는 비판이 쏟아졌고, 국민의힘 의원들은 “무주택자는 불가촉 천민이냐”고 맹공했다.
이에 복 의원은 국정감사 도중 신상 발언을 통해 “급하게 단어를 선택해 서울시민과 국민에게 다소 걱정을 끼쳤다”면서 “앞으로 좀더 정확한 용어 선택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사과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