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주기업 신자 만나고 돌아와 남북 대화 국면 물꼬 틀 가능성…천주교 “교황 방북과 무관” 부인
천주교 서울대교구장 염수정 추기경의 21일 개성공단 방문이 최근 경색된 남북관계 흐름을 바꾸는 계기가 될지 관심이 쏠린다. 프란치스코 교황의 8월 방한 일정이 광복절 전후로 예정돼 있는 등 올해 하반기 남북관계가 종교 지도자들의 행보와 맞물리는 모습이다.
통일부 제공
천주교 서울대교구장 염수정(왼쪽 네 번째) 추기경이 21일 개성공단을 방문해 홍양호(왼쪽 세 번째) 개성공업지구지원재단 이사장으로부터 개성공단 현황에 대한 설명을 듣고 있다.
통일부 제공
통일부 제공
방북단은 입주기업과 공단 병원 등을 둘러보고 신자들을 만나 기도 시간을 갖는 등 일정을 소화했지만, 미사를 집전하지는 않았고 북한 관계자도 만나지 않았다. 서울대교구 홍보국장 허영엽 신부는 “남북협력의 상징인 개성공단 현지에서 남북 사이의 화해와 평화로운 통일 가능성을 확인했다”며 “우리 모두가 소망하는 평화통일은 개성공단의 활성화에서 출발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이번 방문의 의의를 설명했다.
서울대교구장과 평양교구장 서리를 겸하고 있는 염 추기경의 방북은 개성공단 입주기업 근로자들로 구성된 천주교 신자공동체의 요청에 따른 것이다. 하지만 북한이 염 추기경의 이번 방북을 동의한 것은 최근 남북 간 대립 국면에서 미묘한 변화를 감지하게 한다. 북한의 드레스덴 제안 비난과 4차 핵실험 시사 등으로 급격히 냉랭해진 남북관계가 우리 정부의 평양 아파트 붕괴 사고 관련 위로 전통문 전달과 염 추기경의 방북 허용 등으로 조금씩 대화 국면으로 가는 것 아니냐는 해석이다.
특히 8월 14일로 예정된 교황 방한 일정에 광복절이 포함된 것도 교황의 한반도 평화 메시지 전달이나 방북과 같은 ‘천주교발(發) 대북 이벤트’를 기대하게 만드는 대목이다.
하지만 통일부와 천주교 측은 종교적인 의미를 넘는 확대 해석에는 선을 그었다. 염 추기경이 개성공단 정상화에 맞춰 지난해 성탄절에 방북하려던 일정을 이번에 재추진한 것이라는 설명이다.
정부 등은 교황의 방북 가능성도 일단 부인했다. 천주교 측은 “이번 일정이 교황 방북의 사전답사 차원은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고유환 동국대 북한학과 교수는 “남북관계와 경협 등에 대한 관심이 상당히 멀어졌는데 이번 염 추기경의 방북은 이를 다시 환기시키는 의미”라고 분석했다.
안석 기자 ccto@seoul.co.kr
2014-05-22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