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기전투기 단독후보 F-35A 추가 시험평가 돌입

차기전투기 단독후보 F-35A 추가 시험평가 돌입

입력 2014-05-25 00:00
수정 2014-05-25 08:5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26일부터 2주간 진행…가격·절충교역 3차 협상도 병행

공군 시험평가단이 미국 텍사스주 포트워스 소재 록히드마틴을 방문해 차기전투기 단독후보인 F-35A에 대한 추가 시험평가에 돌입한다.

방위사업청의 한 관계자는 25일 “10여명으로 구성된 시험평가단이 26일부터 2주일간 록히드마틴의 F-35 생산공장을 방문해 시험평가를 한다”며 “지난 2012년 실시된 F-35A 시험평가 이후 변동된 것을 위주로 확인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내구성 시험 도중 발생한 균열 등 그동안 나왔던 결함 사항의 개선 여부도 직접 확인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포트워스 소재 F-35A 생산공장 바로 옆 활주로에선 F-35A 성능시험도 추가로 진행된다.

2012년 시험평가 때와 마찬가지로 시험평가단이 F-35A에 직접 탑승하는 것은 미 국 정부의 승인을 받지 못해 시뮬레이터 탑승과 추격비행을 통해 성능을 검증한다는 것이 공군의 방침이다.

군의 한 관계자는 “F-35A는 단좌(조종석 1개)기라서 우리 조종사가 혼자 탑승하려면 6개월간의 교육과정을 거쳐야 한다”며 “어떤 나라도 시험평가를 와서 직접 F-35를 탑승한 사례는 없다”고 설명했다.

시험평가단과 함께 7∼8명으로 구성된 방사청의 협상팀도 같은 기간 미국을 방문해 가격 및 절충교역에 관한 3차 협상을 진행한다.

방사청은 지난 3월 미국 국방부와 록히드마틴이 ‘2019년이면 F-35A의 대당가격이 8천만∼8천500만 달러(860억∼910억원) 정도가 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음에 따라 최대한 가격을 낮추겠다는 전략이다.

우리 군의 F-35A 도입 예정시기는 2018∼2022년으로, 록히드마틴과 미국 국방부의 전망치를 적용하면 40대의 F-35A 도입가격은 3조6천억원 수준이다.

이에 따라 순수 전투기 도입 가격 이외 군수지원, 훈련비용, 무장 등의 추가 비용이 전체 사업비의 30% 수준임을 감안할 때 F-35A 40대 도입에 필요한 총사업비는 5조원 수준이라는 계산이 나온다.

이는 F-35A 40대 구매를 위해 우리 정부가 책정한 차기전투기 총사업비 7조4천억원보다 2조원 이상 낮은 금액이다.

방사청은 절충교역 분야에선 한국형 전투기(KF-X) 개발을 위한 기술이전 협상에 역점을 두고 있다.

방사청 관계자는 “절충교역에서 최우선순위는 KF-X 사업에 필요한 기술이전”이라며 “지난해 절충교역 협상 때 록히드마틴이 제시한 기술이전 목록에서 좋은 기술을 추가로 더 확보하는 것이 목표”라고 밝혔다.

방사청은 올해 7월 중 구매수락서(LOA)를 확정하고 3분기(7∼9월) 중 F-35A 도입을 위한 본계약을 체결한다는 계획을 세워놓고 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