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방 최고 수준 경계 태세로 격상
군 당국이 대북 확성기 방송을 재개한 전방지역에서 평시 경계 태세를 최고 수준으로 올리고 화력 장비를 보강했다. 북한의 포격 도발 가능성이 커지는 가운데 휴전선 일대에서 남북 간 긴장이 고조되고 있다.군 관계자는 11일 “어제 오후 5시부터 대북 확성기로 심리전 방송을 간헐적으로 실시하면서 서부 전선과 중부 전선의 경계 태세를 격상했다”면서 “최전방 지역은 경계근무 병력을 늘리고 휴식하는 인원을 줄였고 적의 확성기 타격에 대비해 사단이 보유한 직사화기를 이동시키는 등 장비를 보강했다”고 밝혔다.
북한은 2010년 천안함 피격사건에 따른 5·24 조치에 따라 대북 확성기 방송 재개를 발표하자 즉각 조준사격하겠다고 위협한 바 있다. 이 관계자는 “북한군의 동향을 감시하는 정찰수단과 도발 시 이를 응징할 수 있는 화력 장비를 보강하고 있기 때문에 북한이 조준 타격으로 도발하면 가차없이 자위권 차원에서 응징할 것”이라고 말했다.
군은 확성기 설치지역에 폐쇄회로(CC)TV와 적외선감시장비가 장착된 무인정찰기를 띄워 감시를 강화하는 한편 북한 경계초소(GP)에서 공격할 것에 대비해 토우 대전차미사일, 대공방어무기 ‘비호’ 등을 이동 배치했다. 또한 북한군의 방사포(다연장 로켓) 등 공격에 대비해 대포병탐지레이더(AN/TPQ36) 등을 이동 배치하고 K9 자주포 등 포병전력을 강화하고 있다. 확성기가 설치됐으나 대북 방송을 실시하지 않은 지역에서도 K4 고속유탄기관총, K3 기관총, 90㎜ 무반동총 등을 보강했다.
하종훈 기자 artg@seoul.co.kr
2015-08-12 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