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 재균형 정책 긍정 결과 도출 희망… 주도권 잡은 한국에 막후서 영향력 행사
다음달 1일 서울에서 열리는 한·중·일 정상회의에 대해 미국은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버락 오바마 미 대통령이 지난 16일 워싱턴에서 박근혜 대통령과 한·미 정상회담을 한 직후 공동 기자회견에서 “박 대통령이 주최할 한·중·일 3국 정상회의는 한·중·일 간 긍정적 관계를 구축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밝힌 뒤 이를 공식적으로 지지한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미국은 2008년 한·중·일 정상회의가 처음 열렸을 때만 해도 이를 껄끄럽게 생각했다. 7년이 지난 지금 미국이 한·중·일 정상회의에 대한 입장을 바꾼 배경은 무엇일까.워싱턴의 한 외교 소식통은 28일(현지시간) “미국은 새달 1일 서울에서 열리는 한·중·일 정상회의를 앞두고 이를 지지하고 긍정적인 결과가 도출되기를 바라는 입장”이라며 “미국은 ‘아시아 리밸런스’(재균형) 정책에 따라 동북아 지역의 평화·협력 강화를 위한 책임감이 큰 데다 특히 한·일, 중·일 관계가 개선되길 바라고 있다”고 전했다. 다른 소식통은 “이번 한·중·일 정상회의 재개는 한국이 주도권을 쥐었지만 미국이 막후에서 상당한 역할을 한 것으로 안다”며 “지난 4월부터 최근까지 미국이 한·중·일 정상과 각각 만났을 때마다 강조한 사안”이라고 말했다.
미국은 2007년 4월 제주도에서 열렸던 제1차 한·중·일 외교장관회담에서 논의가 시작돼 2008년 12월 일본 후쿠오카에서 제1차 한·중·일 3국 정상회의가 열렸을 때만 해도 이에 민감한 반응을 보였다. 한·중·일 3국이 별도로 정상회의를 개최하는 것 자체가 이례적이었기 때문에 미국은 촉각을 곤두세웠다. 그 뒤로 2012년 5월까지 5차례에 걸친 한·중·일 정상회의가 열릴 때마다 미국은 떨떠름한 입장을 견지했다. 한 소식통은 “미국은 이 지역에서 중국의 영향력이 커지는 것을 우려했다”며 “한·중·일이 미국을 제외하고 중요한 이슈에 대해 합의를 하거나 협력을 증진하려는 것에 적지 않은 반감을 가지고 있었던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오바마 정부는 2013년 임기 2기 들어 아시아 재균형 정책을 강화하면서 한·일과 한·중, 중·일 관계에 더 많이 신경을 쓰기 시작했다. 특히 한국 정부가 중국과의 외교를 강화하고 일본과 멀어진 반면 일본은 미국과의 경제 및 군사 동맹 강화를 통해 목소리를 내는 것도 미국이 한·중·일 정상회의를 긍정적으로 보는 방향으로 입장을 선회한 요인으로 풀이된다.
워싱턴 김미경 특파원 chaplin7@seoul.co.kr
2015-10-30 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