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한미군 일문일답
미군 관계자는 18일 괌의 앤더슨 공군기지에 배치된 사드 기지를 한국 언론에 공개한 뒤 가진 인터뷰에서 “모든 사드 배치 지역은 미사일방어국(MDA)의 검증을 거쳐야 한다. 미군 장병이 매일 사드 체계와 가깝게 생활하며 운용해야 하고, 보호할 주민들을 생각해야 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다음은 미군 관계자 및 로버트 헤드룬드 주한미군 기획참모부장과의 일문일답.
→사드 레이더의 안전거리인 3.6㎞가 위험한 것 아니냐는 오해가 있는데.
-(미군 관계자) 레이더의 인원통제 구역은 100m, 지상장비 통제는 500m, 비통제인원 3600m다. 이 상황은 레이더가 앞을 향하고 있고 주변과 지형에서 고도차가 전혀 없으며 고각도 없는 상태다. 그러나 고각이 없고 전방만 본다면 무기체계가 설계된 성능을 발휘하지 못한다. 예를 들어 5도로 레이더 각도를 상정했을 때 위험에 들어오는 높이는 100m에서는 8.75m, 500m에서는 43m, 3600m에서는 314m, 5000m에서는 837m다. 한·미 공동실무단은 주민과 장병의 건강과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군사적 효용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성주군을 선정했다. 그 기지는 높은 고도에 있다. 그 기지는 괌과는 전혀 다른 지형이다. 사드 배치 기지로 발표된 곳과 유사한 350m 고도를 예로 들어 고각을 5도로 잡으면 추가 고도가 있기 때문에 100m에서 최저 위험 높이는 359m, 500m는 394m 이상이다. 3600m에서는 664m가 되고 5000m에서는 787m다.
→한국은 건강뿐 아니라 중국 측의 강력한 반발도 우려하고 있다. 성주군에 배치되면 어디까지 탐지 가능한지.
-(헤드룬드) 사드가 한반도 방어 임무에 성공하기 위해서는 공중의 특정 지역을 지향해야 한다. 특정 지역에 중국은 포함돼 있지 않다. 레이더가 최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선 공중을 구역으로 쪼개 집중 감시해야 미사일이 강하하는 것을 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 특정 시나리오에 중국은 위협으로 상정도 안 돼 있다.
→인구가 가장 밀집한 수도권 방어가 사드 없이도 가능한지.
-(헤드룬드) 한·미 공동실무단은 평가기준을 상호 협의하에 발전시켰고 객관적인 사실에 입각해 각 기지를 검토했다. 선정된 기지는 작전 운용 효과와 방어 범위, 안전, 환경, 건강 등 고려 요소를 총체적으로 고려해 선정됐다. 사드와 수도권 관계를 말씀드리면 사드는 탄도미사일 방어네트워크의 일부라는 것이다. 그리고 한국 방어를 위해선 다수의 체계를 운영하는 게 필수적이다.
문경근 기자 mk5227@seoul.co.kr
괌 국방부 공동취재단
2016-07-19 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