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대통령 탄핵 가결되든 부결되든 외교 ‘관리모드’

박대통령 탄핵 가결되든 부결되든 외교 ‘관리모드’

입력 2016-12-08 10:54
수정 2016-12-08 10:5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부결돼도 의미있는 정상외교 어려울듯…‘현상유지’ 주력

오는 9일 국회에서 박근혜 대통령 탄핵 소추안 가결 여부가 결정되면 그 결과가 어떤 식으로든 한국 외교에도 중대한 영향을 줄 것으로 관측된다.

어떤 경우든 우리 ‘정상외교의 비정상화’는 이어질 것이며, 문제 해결을 위한 적극적인 외교보다는 ‘상황 관리’에 방점이 찍힐 것이라는 관측이 힘을 얻고 있다.

만약 가결된다면 권한이 정지되는 박 대통령을 대신할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 체제에서, 한국 외교는 ‘현상유지’에 주력하게 될 전망이다.

정상외교 일정은 헌법재판소의 판단이 나오기까지 ‘180일 이내’의 기간 중 사실상 보류되며 필요불가결한 외교 협의는 윤병세 외교부 장관을 필두로 한 외교부 중심으로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외교정책 추진 면에서도 고도의 정치적 판단이 필요한 결정은 그 시급성이 인정되지 않는 한 탄핵 심리가 진행되는 동안은 내려지기 쉽지 않아 보인다.

다만, 탄핵안이 가결되더라도 서명 절차를 앞둔 조약 체결이나 외국 대사 접수와 같은 일상적인 외교 업무는 정상적으로 이뤄질 것이라는 게 정부 관계자들의 반응이다.

2004년 노무현 당시 대통령에 대한 탄핵 소추안이 국회에서 가결됐을 때 고건 대행 체제에서 정부는 9건의 조약을 체결하고, 외국 대사의 신임장을 제정받았던 전례가 있기 때문이다.

내년 2월께 이뤄질 것으로 예상되는 재외공관장 정기 인사의 경우 정년을 맞아 귀임해야 할 대사들이 있는 만큼 최소한 소폭으로나마 있을 것으로 보인다.

탄핵안이 부결될 경우 박 대통령이 계속 외교 관련 권한을 행사하겠지만, 거취 문제가 불안정한 상황에서 주요국과의 의미 있는 정상외교는 당분간 쉽지 않아 보인다.

대신 외교사절 접수, 조약 비준 등 헌법상 권한을 행사하면서 제재·압박 중심의 대북정책, 한미일 3각 안보공조 강화 등 현재의 외교기조를 유지하려 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탄핵안이 가결되든 부결되든 내년 1월 20일 도널드 트럼프가 미국의 새 대통령으로 취임한 뒤 조기에 한미정상회담을 개최하기는 어려울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외교 소식통들은 이를 ‘중대 리스크’로 꼽고 있다. 부결되더라도 정권 장악력이 크게 떨어진 박 대통령의 조기 퇴진론은 당분간 사라지지 않을 공산이 커 한미정상회담은 트럼프 일정에서 후순위로 밀릴 가능성이 있는 것이다.

미국 새 행정부의 대한반도 외교 라인이 정비되고 대북정책이 수립되기 전에 한미 정상회담을 개최함으로써 우리 정부의 입장이 미국 정책에 반영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는 점에서 한미간 정상외교의 공백은 큰 우려를 낳을 전망이다.

앞서 조지 W. 부시 행정부가 출범한 2001년에는 3월 초 김대중 당시 대통령과 부시 대통령 간에, 버락 오바마 행정부가 출범한 2009년에는 4월 초 이명박 당시 대통령과 오바마 대통령 간에 첫 한미 정상회담이 각각 열린 바 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