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원, 정보위 국감서 밝혀
“탄도미사일 추가 발사 가능성… 풍계리 2번 갱도는 손상된 듯”“김정은, 본보기 숙청·처형 재개… 국내 금융기관 해킹 시도 포착”
국가정보원은 2일 국회 정보위원회 비공개 국정감사에서 북한이 연말 영변 원자로에서 폐연료봉 인출과 재처리 활동을 진행할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했다.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은 한동한 자제했던 본보기식 숙청과 처형을 최근 재개한 것으로 전해졌다.

국정원은 북한의 핵실험장 갱도 상태에 대해선 “풍계리 핵실험장의 3번 갱도는 언제든지 핵실험이 가능한 상태”라면서 “4번 갱도는 최근 굴착공사를 재개했고 핵실험이 가능한 정도로 굴착하려면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6차 핵실험 이후 3차례의 후속 지진이 발생해 2번 갱도는 손상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공포정치와 관련, 국정원은 김정은이 최근 ‘미사일 발사 축하행사를 1면에 게재하지 않았다’는 죄목으로 노동신문사 간부 여러 명을 혁명화 교육 조치했으며 평양 고사포부대 정치부장을 부패 혐의로 처형했다고 보고했다.
국정원은 이날 국감에서 “북한이 최근에도 가상화폐거래소, 은행·증권사 등 여러 금융 관련 기관을 공격 타깃으로 선정하고 해킹에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는 정황이 지속적으로 포착되고 있다”면서 “최근 비자 연장 불허 등 여건이 악화되면서 정찰총국 산하 해킹조직 주도로 인력 파견이 필요 없는 ‘금전탈취 해킹’을 기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고 정보위 관계자가 밝혔다. 국정원은 이어 “향후 북한의 해킹은 자금 추적이 불가능한 가상화폐에 집중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국정원은 북한 경제가 국제 사회의 대북 제재에도 불구하고 “그럭저럭 버티기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나 제재가 지속되면 ‘고난의 행군’ 수준의 경제난을 맞을 것이라고 예측했다. 국정원은 “북한 경제성장률은 2016년 3.9%에서 내년엔 최대 -5%까지 하락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면서 “북한은 이럴 경우 일단 비핵화 협상에 호응해 제재 완화를 도모하거나 더욱 강력한 통제로 내부 불만을 억누르며 핵무력 완성도를 높여 나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민석 기자 shiho@seoul.co.kr
2017-11-03 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