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방부 제공.
지난 5일 화살머리고지에서 발굴된 서양인 추정 완전유해.
국방부 제공.
국방부 제공.
국방부는 9일 “지난 5일 화살머리고지 일대에서 미군 또는 프랑스군으로 추정되는 유엔군의 전사자 유해가 최초로 발견됐다”고 밝혔다.
그동안 국군과 중공군으로 추정되는 유해는 계속 발굴돼 왔지만 유엔군으로 추정되는 유해가 화살머리고지에서 발굴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국방부는 “유해의 두개골과 대퇴부의 크기가 전형적인 서양인 유해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며 “6·25전쟁 당시 미군과 프랑스군의 전투지역에서 발굴됐다는 점과 유해발굴 현장에서 미군 전투화 및 전투복의 단추가 함께 발견된 점을 고려하면 6·25전쟁 당시 유엔군으로 참전했던 미군 또는 프랑스군으로 추정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국방부는 지난 4월부터 남북 공동 유해발굴을 위한 사전 준비 차원에서 화살머리고지 일대 남측 지역에서 지뢰제거 및 기초발굴 작업을 진행해 왔다. 이날 기준으로 현재까지 발굴된 유해는 총 425점, 유품은 2만 9813점이다.
화살머리고지 전투는 6·25전쟁 당시 화살머리고지 일대에서 총 4회의 치열한 고지 쟁탈전이 벌어졌던 전투다. 미군과 프랑스군은 각 1개 대대 규모의 병력이 참전해 이 중 100여명이 전사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그중 현재까지 수습되지 못한 미군 및 프랑스군 전사자는 20여명 이상으로 추정하고 있다.
국방부는 “수습된 유해는 향후 미 전쟁포로 및 실종자 확인국(DPAA) 및 주한 미국·프랑스 대사관과 협조해 DNA 검사 등을 통해 최대한 이른 시일 안에 정확한 신원이 식별될 수 있도록 조치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국방부 제공.
화살머리고지에서 유해발굴단 인원들이 유해발굴 작업을 하고 있는 모습.
국방부 제공.
국방부 제공.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