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교육감 선거전 시작…조희연 첫날 등록·타 후보들 25일

서울교육감 선거전 시작…조희연 첫날 등록·타 후보들 25일

신성은 기자
입력 2018-05-24 10:56
수정 2018-05-24 17:4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조희연 서울시교육감 후보가 24일 오전 서울 종로구 서울시선거관리위원회에서 6ㆍ13지방선거 서울시교육감 후보 등록을 하고 있다. 2018.5.24  연합뉴스
조희연 서울시교육감 후보가 24일 오전 서울 종로구 서울시선거관리위원회에서 6ㆍ13지방선거 서울시교육감 후보 등록을 하고 있다. 2018.5.24
연합뉴스
6·13지방선거 후보 등록이 24일 시작되면서 서울시교육감 선거전도 본격적으로 막이 올랐다.

재선에 도전하는 진보진영 조희연 서울시교육감은 예비후보 중 가장 이른 이 날 오전 9시 25분께 종로구 서울시선거관리위원회에 직접 후보 등록 서류를 냈다.

그는 후보 등록에 즈음해 블로그에 글을 올려 “보름도 안 되는 짧은 선거운동 기간이지만 모든 시민을 만난다는 각오로 신발끈을 조여 매겠다”면서 “로고송과 율동 없이 조용한 ‘노크선거’를 펼치겠다”고 밝혔다.

이날 조 교육감은 후보 등록에 이어 학교 사회복지사들을 만나고 오후에는 선거사무소 개소식을 여는 등 후보로서 공식일정을 소화했다.

다른 후보들은 25일 후보 등록을 할 예정이다.

중도성향으로 분류되는 조영달 예비후보(서울대 교수)는 25일 오전 9시 서울선관위를 방문해 후보 등록 절차를 밟겠다고 공지했다.

특히 조 후보는 등록 직후 ‘중요한 제안’을 하겠다고 밝혔다.

일각에서는 조희연 교육감을 뺀 후보들 간 단일화와 관련된 제안 아니냐는 관측도 조심스레 나온다.

조 후보 선거캠프 관계자는 “우리도 어떤 제안을 내놓을지 모르며 후보만이 안다”고 말했다.

보수성향 박선영 예비후보(동국대 교수)는 오전 11시 후보로 등록할 예정이다.

박 후보는 이준순(대한민국미래교육연구원장)·최명복(한반도평화네트워크 이사장) 예비후보 등과 막판 단일화 협상을 진행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다른 보수성향 후보인 곽일천 예비후보(전 서울디지텍고 교장)는 25일 오전 9시에 후보 등록을 계획 중이다. 그는 ‘막판 단일화’에 부정적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시의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자치구체육회 회장단 간담회 성공리 끝마쳐

서울시의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이종배 위원장 직무대리(국민의힘, 비례대표)를 비롯한 위원들은 지난 18일 지역 체육 현안 해결을 위해 자치구 체육단체장들과 머리를 맞대며 현장의 목소리를 직접 듣는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번 간담회에는 문화체육관광위원회를 대표해 이종배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위원장 직무대리와 김규남 의원, 김형재 의원, 유정희 의원이 참석했으며, 자치구 체육회에서는 이정섭 광진구체육회장, 이정식 강북구체육회장, 채종태 강서구체육회 부회장, 김영주 관악구체육회장 직무대행, 허대무 강남구체육회장, 한동인 동대문구체육회 사무국장, 조성준 송파구체육회 사무국장이 자리했다. 참석자들은 먼저 지역별로 겪고 있는 공통 문제로 체육시설 부족을 최우선으로 꼽았다. 실제로 구에서 구민을 수용할 만한 체육시설이 부재하여 구민 체육대회 개최가 어렵다는 고충이 있으며, 지역을 대표하는 자치구체육회에게 우선대관 및 이용료 감면 혜택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덧붙였다. 또한 자치구 구청장 및 체육회장배 대회 운영을 위한 지원금이 코로나-19 이후 동결되어 현실화 필요성도 지적됐다. 특히 보조금사업의 한계로 용품 구입이 제한되는 점 또한 언급하면서 행정적 규제 개선의 목소리도 함께
thumbnail - 서울시의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자치구체육회 회장단 간담회 성공리 끝마쳐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