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OA방송 “지진계 6대 설치”
북한이 백두산 화산 폭발 가능성에 대비해 처음으로 서방 과학계와 함께 관측에 착수했다.미국의 소리(VOA) 방송은 13일 북한이 미국, 영국의 민간단체들과 국제연구팀을 구성하고 지난달 백두산의 화산 움직임을 관측하기 위해 이 지역에 광대역 지진계 6대를 설치했다고 보도했다. 이 프로젝트에는 북한 측에서 30여명의 과학자들이 참여한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이 지진계로 측정한 데이터를 3~4개월마다 전달하면 국제연구팀은 이를 토대로 북한과 공동보고서를 작성해 발표할 계획이다. 북한과 서방의 이번 과학 협력은 미국 리처드 라운스베리 재단이 미국 과학진흥협회를 통해 자금을 지원하고, 영국 자연환경연구협의회로부터 지진계를 임대하면서 실현됐다.
백두산 폭발 가능성은 전문가들에 의해 꾸준히 제기돼 왔다. 백두산은 946년 첫 분화를 한 뒤 1413년·1668년·1702년·1903년에 재분화한 기록이 남아 있다. 2000년대 들어서도 백두산 일대 지진 빈도가 늘고, 천지 주변 외륜산 일부 암반이 붕괴되는가 하면 천지 칼데라 주변의 절리(틈새)를 따라 화산가스가 분출하는 등 화산 폭발 징후가 나타났다. 지질학자들은 백두산이 언젠가는 분화할 것이며, 분화한다면 2010년 초 전 세계 항공 대란을 초래한 아이슬란드 화산 폭발을 능가하는 규모가 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이에 따라 한국도 2011년 북한과의 백두산 화산 공동연구를 추진했으나, 남북 관계 경색으로 지지부진해지면서 별다른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북한은 정권 정통성의 기반인 백두산의 화산 폭발 문제가 가져올 주민들의 동요를 우려해 거론 자체를 금기시하다 2년 전부터 이를 공론화하며 국제사회에 도움을 요청해 왔다.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2013-09-14 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