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자금세탁·테러자금 조달에 대한 단속 협력을 위해 국제기구와 논의를 진행하고 있음에도 여전히 ‘돈세탁 위험국가’로 재지정됐다고 미국의소리(VOA) 방송이 27일 보도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산하 자금세탁방지국제기구(FATF) 대변인실은 VOA에 “북한을 이란과 함께 자금세탁과 테러자금 조달에 대한 대응조치가 필요한 국가로 재지정했다”고 밝혔다.
FATF는 2011년 2월 북한에 대한 금융제재를 ‘주의’에서 최고 수준인 ‘대응’으로 상향 조정한 뒤 이를 계속 유지하고 있다.
올해 2월 파리에서 열린 총회에서는 북한을 4년 연속 ‘돈세탁 위험국가’로 재지정하고 회원국들에 북한과 금융거래를 할 때 주의할 것을 촉구했다.
FATF 대변인실은 북한이 지난 6월 이후 FATF와 자금세탁·테러자금 조달 단속 관련 협력 방안을 논의하고 있지만 중대한 문제를 여전히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며 북한 고위급이 계획 이행 약속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고 VOA가 전했다.
FATF에는 미국, 영국, 중국, 일본, 러시아, 한국 등 34개국과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 걸프협력위원회(GCC) 등 2곳의 국제기구가 회원국으로 참여하고 있다.
연합뉴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산하 자금세탁방지국제기구(FATF) 대변인실은 VOA에 “북한을 이란과 함께 자금세탁과 테러자금 조달에 대한 대응조치가 필요한 국가로 재지정했다”고 밝혔다.
FATF는 2011년 2월 북한에 대한 금융제재를 ‘주의’에서 최고 수준인 ‘대응’으로 상향 조정한 뒤 이를 계속 유지하고 있다.
올해 2월 파리에서 열린 총회에서는 북한을 4년 연속 ‘돈세탁 위험국가’로 재지정하고 회원국들에 북한과 금융거래를 할 때 주의할 것을 촉구했다.
FATF 대변인실은 북한이 지난 6월 이후 FATF와 자금세탁·테러자금 조달 단속 관련 협력 방안을 논의하고 있지만 중대한 문제를 여전히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며 북한 고위급이 계획 이행 약속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고 VOA가 전했다.
FATF에는 미국, 영국, 중국, 일본, 러시아, 한국 등 34개국과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 걸프협력위원회(GCC) 등 2곳의 국제기구가 회원국으로 참여하고 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