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 30분 늦춘 평양시로는 ‘제시간’
청와대는 23일 오후 3시 남북 고위 당국자 접촉이 재개된다고 밝혔다. 하지만 실제 회동은 3시 30분에 시작됐다. 앞서 22일에도 오후 6시에 접촉을 한다고 알렸지만, 회동이 본격적으로 시작된 시간은 6시 30분이었다.이처럼 남북 접촉이 예정보다 30분씩 늦춰진 데 대해 북한의 표준시인 ‘평양시’를 적용했기 때문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앞서 북한은 올해 광복 70주년을 맞아 표준시를 우리보다 30분 늦춘다고 발표한 바 있다. 일각에서는 우리가 북한과의 협상에서 주도권을 잃은 것 아니냐는 해석마저 제기된다. 정부 당국자는 “테이블에 앉는다고 해서 대화가 바로 시작되는 것이 아니고, 통신환경 등 제반 여건이 갖춰진 뒤에 양측이 동의해야 시작된다”며 “과거 회담에서도 지연되는 경우가 많았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북한이 표준시를 30분 늦춘 뒤 이뤄진 첫 남북 접촉이기 때문에 “실무적인 이유로 30분 지연”이라는 정부 해명은 설득력이 떨어진다.
한편, 북한은 이날 언론매체를 동원해 황당한 선전공세를 이어갔다. 북한의 대남선전용 웹사이트 우리민족끼리는 “괴뢰군 사병들이 병영을 탈주하고 청년들은 입대를 기피해 다른 나라로 빠져나가고 있다”면서 “외국행 비행기표 가격이 10배 이상 뛰어오르는 현상이 나타났다”고 주장했다. 이어 “남조선 주민들 속에서 전쟁 공포증이 만연해 라면, 음료수를 사서 저장해놓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고 했다.
이영준 기자 apple@seoul.co.kr
2015-08-24 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